210715 TIL

이은택·2021년 7월 15일
0

TIL

목록 보기
28/141
  • 금일 할일

    • 노션 프로젝트사용시 자신의 노션페이지에 따로 추가 안하고 다들 어떻게 쓰는지 확인해보기
    • 생각하기 연습
      • 고민은 책상에서 ㄴㄴ 책상에서 일어나기전에 고민중 하나를 머리속에 넣어두기
  • 금일 목표

    • 프로젝트 프레임 이해도 10점만점에8점이상
    • 프로젝트 이해도 목표를 달성 했다면 복습 또는 학습을 선택후 금일 추가 목표 구체적으로 세우기
  • 하루 자율 프레임

    • 6:40
      • 자율 4시간50분
    • 11:30
      • 점심 도시락ㄴㄴ
    • 12:30
      • 자율 5시간
    • 5:30
      • 저녁
    • 6:30
      • 자율 5시간30분
    • 12:00
  • 총자율시간 15시간 20분

  • TimeTracking

    1:47

    • 자러감

      2:05

    • 숙면 - 2시간45분

      4:50

    • 스트레칭

      5:00

    • 아침

    • 세안

      6:00

    • 금일 할일, 목표, 자율 프레임 작성

    • 어떤 식으로 미니프로젝트를 이해할지 구체적으로 작성해보기
      1. 녹화해둔 설명을 다시 본다.
      2. 모르는 것과 이해한것을 코드를 보며 주석을 단다.
      3. 주석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달았으면 모르는 것을 이해하게 된 경우도 있을 것이다. 구글링을 해가며 크루원에게 물어볼것을 예상하고 내가 이해하기 위해서 어떤 것을 찾아보았는지 어떤 시도를 했는지 또는 모르는 부분을 다시 읽었을때 알아 보기 쉽게 간략히 적어둔다.
      4. 팀원에게 양해를 구한뒤 어떤식으로 내가 주석을 달아 놓았고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간략히 말한후 내가 이해한것이 맞는지를 점검해본다.
      5. 다시 이해한것을 바탕으로 코드를 슥 스캔한후 모르는 것을 구글링해본다.(찾아보는 시간 최대치 세팅 해둘것!)
      6.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했으면 심화주차 3-5를 학습할지 아니면 기본 1~4, 심화 1~2를 복습 하는게 앞으로 남은 과제를 위해 나을지 크루원에게 의견을 물어본다.

      6:40

    • BR

      6:50

    • 준비

      7:03

    • 문제점 봉착

    • 녹화한 영상의 목소리가 잘 안나옴 다음에는 이어폰 으로 연결 후 녹화

    • 졸림

      7:10

      숙면 - 4시간3분 - 컨디션 최상

    • 낮잠 - 20

    • 9:38

    • 10:09

      11:13

    • 누적 수면시간 - 6시간48분정도
      - 지금 잠을 4시간30분씩 자면서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차라리 하루에 자는 시간 2시간을 주고 2시간을 자면 대강 자율시간에서 13퍼센트가 빠져나간다. 하지만 총 자율시간에서 13퍼센트를 빼고 컨디션이 최상이라면 효율이 올라 가기 때문에 오히려 습득하는 속도는 훨씬 빠를 것 같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과 다른 방법같기에 마음에서 조금 거슬린다. 내가 혹시나 나자신을 합리화를 하기 위해서 이런 생각을 하는건가 싶지만 그건 아닌 것 같다. 아인슈타인도 얼핏 듣기로는 10시간을 자야지 머리가 돌아갔다고 들은 것 같다. 어쩌면 효율성을 높여 주는 집중력과 컨디션은 노력하는 시간에 가려진것이 아닐까? 오늘 하루를 집중해서 보내보고 체감상 이 전략이 맞다면 하루동안 최고의 컨디션을 주는 수면시간 그리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는 방법이 나에게 더 알맞는 방법이 될 수도 있겠다.

      11:25

    • 준비

      11:30

    • init프로젝트 app.js 주석달기

      12:10

    • 점심

    • 양치

      1:12

    • ing프로젝트 app.js 주석달기
      - 집중이 끊이지 않고 되었을때마다 1분씩 집중 시간제한 높이기 초기설정은 5분

      1:31

    • 충전 케이블 수령

      1:39

    • ing 프로젝트 코딩 훑어 보면서 주석달기

    • -1분-3분-3분

    • CORS -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 CSRF - Cross-Site Request Forgery

      2:45

    • BR

      3:08

    • Complete프로젝트 app.js 주석달기

      • 3분

      3:35

    • init 설명비디오 이해하기

    • 음성 녹화가 잘 안되어 있어서 활용 불가

      3:43

    • init 프로젝트 파일 전부다 훑어 보면서 주석달기

      4:16

    • ing 프로젝트 파일 전부다 훑어 보면서 주석달기

      5:06

    • BR

    • 저녁

    • https://www.youtube.com/watch?v=T7y6Hl0YZ14&list=PLv2d7VI9OotSyQ6RPdytiHID5Cmnv_sA3&ab_channel=드림코딩by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vtVpMBbRmlA&list=PLv2d7VI9OotSyQ6RPdytiHID5Cmnv_sA3&index=2&ab_channel=드림코딩by엘리

    • 능동적, 긍정적 태도

      6:00

    • ing 프로젝트 파일 전부다 훑어 보면서 주석달기

    • -5분

    • 18분 낮잠

    • https://www.youtube.com/watch?v=V60QQDA57SA&list=PLv2d7VI9OotSyQ6RPdytiHID5Cmnv_sA3&index=3&ab_channel=드림코딩by엘리

      7:20

    • 편의점

      7:53

    • complete 프로젝트 파일 전부다 훑어 보면서 주석달기

      8:20

    • 혼자 주석 처리는 했는데 다음은 복습을 할지 과제를 다시 구글링할지 고민

      8:30

    • https://www.youtube.com/watch?v=89bFo003oik&list=PLv2d7VI9OotTeLVzs62caVa4Vgnu-Licb&ab_channel=드림코딩by엘리

    • 딜레마

      8:50

    • 주위에 도움요청

      9:35

    • 더 빠른 학습방향

    1. 기본 2,3,4, 심화 1,2 숙제 부분만 다시 만들어볼까?
    2. 팀프로젝트 주석처리한거 전부다 구글링해서 이해하기? 근데 이해하는 정도가 어느정도...
      1. 어제 녹화 해두었던거 음성 불량이라 다시 따라가기 그럼...
    • 크루원 조언

      10:25

    • 더이상 학습 방향 결정 미루기 ㄴ 고민하는 시간 아까움

    • 어떻게든 완주는 하고 싶은데 지금 이상태로 팀원에게 아무것도 도움 못주는 상태로 프로젝트를 3-4개를 완주하는건 아니다 싶은데 다른 사람에게 미얀해서 하차하면 나중에 더 후회가 될것 같음.

    • 부트캠프가 끝나고 앞으로 남은 인생을 살면서 지금처럼 어려운 일을 맞닥뜨릴때 그때도 주위 사람들에게 미얀해서, 내가 멍청해서, 습득력이 좋지 않아서, 경험이 부족해서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똑같이 제자리 걸음을 하게 될게 뻔하다. 한번이라도 엿같은 상황에서라도 완주하는 경험을 얻는게 길게 보면 값진 경험 이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다음에 어려운 상황이 올때 지금처럼 주위에 도와주려는 사람이 있다고 보장할 수 없다. 지금이 기회다. 그리고 지금 부트캠프 안에서 다들 악착같이 하는데 나혼자 페이스를 못따라 간다고 낙담할 필요 없다. 몇몇 개발 공부 경험 있는 분들의 말을 생각하면 이 부트캠프 과정에서 배우는 속도가 여러모로 속도가 빠르다고 말했다. 나또한 기준을 다같이 악착같이 하시는 분들과 비교를 하지말고 성장 기준을 나에게로 포커스를 맞추도록 노력하자.

    • 하고자하는 의지, 밤샘의지, 알아서 공부해옴

    • 크루원 성장속도가 높은 이유
      - 스스로 똑똑하다고 생각하고 안되면 자존심이 상해서 더 잠이 안오고 더 열심히 하게됨?
      - 모르면 물어보고(노력대비 물어볼 타이밍 인지) 계속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 같음
      - 밤새가면서 까지 할 의지
      - 이게 맞는 걸까?
      - 밤을 셀 수 있는데 규칙적인 패턴을 위해서 밤을 세지 않는 것인가 아니면 밤을 셀 수 없어서 규칙적인 패턴을 고수하는 것인가?
      - 밤을 센다고 했을때 졸음이 오면 효율성이 극악으로 떨어지는걸 인지 하기 때문에 밤을 세지 않는 듯? 새로운 개념을 습득하는 공부를 할때는 밤세기 힘듬,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생각하는 공부는 그나마 밤세기 더 나을듯
      - 부트캠프 시작전에 알아서 공부해올 정도의 의지를 가지고 오신분들임...
      - 따라가면 용한거... 이런 고민하는 시간은 충분히 한ㄱ덧 같고 이제 포커스를 나의 기준에 맞춰서 하자 프로젝트 같이하면서 당연히 비교가 안될래야 안될수 없겠지만 미리 나의 현재 상황을 팀원에게 말해 양해를 구하고 차근차근히 묵묵히 나아가자.
      - 항해 99에서 가져가고 싶은것
      - 답도 없는 상황을 회피하지 않고 완주하는 경험
      - 주변에 나빼고 다 앞으로 나아가는 것 같아도 참고 같이 완주하기
      - 아무것도 안남는건 아님
      - 물론 혼자 낙담해서 이런저런 고민을 계속 하게되면 그 시간에 얻을 수 있는 지식을 다 놓침
      - 개발자로서 취직을 시작 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완주하고 3-6개월 공부후)
      - 항상 능동적으로 사고를 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고 하는 사람이 되었음 좋겠음
      - 내면이 단단한 사람
      - 나의 의사를 명확히 전달하는 스킬
      - 인연

      11:21

    • 심플하게 가자 현재 필요한 스킬
      - CRUD강의 자료를 활용해 다른 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정도의 스킬
      - 기본2-4주차, 심화 1,2주차 숙제를 구현하면서 내가 모르는 부분을 적은후 그부분만 집중적으로 파기
      - 클론코딩 발제 오전 11시

      11:42

    • 오늘 한일
      - 프로젝트 파일들 rotue안에있는 함수파일 빼고 나머지 이해바탕으로 주석처리 및 구글링 4시간52분
      - 드림코딩 엘리 30분
      - 낮에 4시간 30분 정도잠
      - 크루원에게 고민상담 받음
      - 뒷꽁무니 쫓아 가기 위해서 어떤식으로 학습할지 그리고 현재 나의 진행 상태에 따른 하차 여부 고민 결정

      11:

    • http-errors 공식문서보는중

      12:04

      해야될 일

    • 기본주차 숙제 따라하면서 만들었던거 전부다 이해한거 바탕 주석으로 달기 (찾아보는데 시간 쓰는거 ㄴㄴ 제한시간 한시간!)

    • 강의자료에서 구현해야되는거 보고 먼저 구현해보고 그다음 강의자료 비교하면서 틀린 부분 고치기(단! 집중력이 떨어지면 오타확률 높으니 집중력이 떨어질때는 의자에서 멀어지기)

      12:14

    • 팀원들이 해결하려는 배포오류 관련해서 찾아보기

    • 기본주차 숙제 폴더 찾기

      12:41

    • ?? 할일이나 하자

      12:58

    • 기본 주차 코드 뜯어 먹고 있는중 맛이 생각 보다 맛있다

      2:24

    • break

      2:32

    • 비동기 보는중

      3:10

    • 집중력 떨어지는 상황 다들 잠도 안자고 어떻게 집중을 하는지 참 신기하다...

      3:25

    • 병든 닭상태

      3:40

    • 내가 1인분 하지 못해서 나비효과로 다같이 밤새다

    • 죄책감에 에러 고칠줄 도 모르면서 같이 보고 있는데 되게 멍청한 방법이다. 이번주 와 같은 식으로 흘러 가지않게 하기 위해서는 내가 부족한 부분을 공부 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지이다. 매번 미안할 순 없으니 한시라도 빨리 팀원에게 미안하지 않을 실력을 쌓자!

      4:41

    • break

      4:50

    • 마무리 하시는거 보는중

      5:12

    • 머리는 안돌아 가는데 같이 마무리 할때까지 있으려고 함

  • 프로젝트 이해 가이드라인

    • 모르는 것과 이해한것을 코드를 보며 주석을 단다.
    • 주석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달았으면 모르는 것을 이해하게 된 경우도 있을 것이다. 구글링을 해가며 크루원에게 물어볼것을 예상하고 내가 이해하기 위해서 어떤 것을 찾아보았는지 어떤 시도를 했는지 또는 모르는 부분을 다시 읽었을때 알아 보기 쉽게 간략히 적어둔다.
    • 팀원에게 양해를 구한뒤 어떤식으로 내가 주석을 달아 놓았고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간략히 말한후 내가 이해한것이 맞는지를 점검해본다.
    • 다시 이해한것을 바탕으로 코드를 슥 스캔한후 모르는 것을 구글링해본다.(찾아보는 시간 최대치 세팅 해둘것!)
    •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했으면 심화주차 3-5를 학습할지 아니면 기본 1~4, 심화 1~2를 복습 하는게 앞으로 남은 과제를 위해 나을지 크루원에게 의견을 물어본다.
profile
도전!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