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지원을 갔는데 거기 환경이 webtob & jeus를 사용하는 환경이었다. 내가 지원한 부분이 카카오 상담톡을 이용한 채팅메인 개발과 webtob & jeus 미들웨어 세팅 부분이었는데 webtob를 통해 websocket 연결을 하면서 겪었던 이슈사항이 있어 글을 남긴다.
먼저 프로젝트의 구성은 vue + spring boot 구조로 webtob에 vue build file 올리고 jeus에 spring boot war 파일 올려서 webtob를 통해 접근을 했는데 websocket url을 webtob의 rewrite.conf를 통해 jeus 서버로 요청을 전달해줬다. 근데 webtob가 종료됐을 때 websocket 연결 관련 로그가 엄청나게 뜨면서 로그파일이 50GB 넘어서 서버가 뻑이났다.
그래서 rewrite.conf 말고 http.m의 URI도 해봤는데 증상이 동일해서 webtob 공식 문서를 보니 webtob를 통해 websocket을 연결할 때 http listener에서만 사용가능하므로 http.m 파일의 REVERSE PROXY절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한다. 그래서 REVERSE PROXY절로 설정을 수정하고 해보니 다시 재연해봤을 때 비정상적으로 로그가 쌓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