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 학습 (Transfer Learning) 을 통해 마동석, 수지, 유재석 레이블을 구분하는 이미지 분류기를 만들어 보자.
곤충은 애벌레 -> 번데기 -> 나비 로 진화를 하는데 각 단계마다 필요로 하는 상태 (에너지의 양과 무게, 행동 양식) 가 다르듯 우리가 사용할 모델도 원하는 목적에 맞게 무게라거나 상태를 다르게 만들 필요가 있다.
계산과 메모리에서 코스트가 많이 소요되는 연속형 수 (소수) 를 이산형 수 (정수) 로 변환하여 모델을 가볍게 만들자.
딥러닝 레이어에서 중요한 (레이어) 파라미터와 안 중요한 파라미터 중 안 중요한 파라미터를 지워 (가지치기) 가볍게 만들자.
우리는 3D 세상에 살고 있다. 앞으로 나타날 AI 로봇이나 자율주행 등도 3D 세상에 기반하기 때문에 3D 공간에 대한 이해를 해야한다.
사람은 시각 정보 뿐만 아니라 Audio 나 Text 데이터 등을 함께 사용하여 인식을 한다.이렇듯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Multi-modal 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