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어드레스 저장하는 방법
- Dynamic 방식
- 자동으로 배우는 방식
-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사용하지 않으면 주소가 MAC테이블에서 사라짐
- Permanent 방식
- 수동으로 맥 어드레스를 넣어주는 방식
- 절대 지워지지 않도록 저장하는 방식
Static 맥 어드레스
- 항상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저장되어 지워지는 일이 없는 주소
- 맥 어드레스를 알기 위해 Learning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음
- 주소가 바뀐다고 해도 자동으로 수정 불가능
- 맥 어드레스 테이블을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낭비됨
-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지 않음
명령어
- vlan
- interface
- 이 맥 어드레스를 목적지로 갖는 주소가 들어오면 지금 지정해 준 인터페이스 쪽으로 보낸다는 의미
가상의 랜 (Virtual LAN : VLAN)
-
한 대의 스위치를 마치 여러대의 분리된 스위치처럼 사용하고, 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음
-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들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서로 다를 수 있음
-
한 선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짐
-
스위치도 여러 개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눌 수 있게 됨
중요
하나의 스위치에 두 개의 네트워크가 붙어있어도 네트워크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라우터를 거쳐야 함
-
스위치에서 지원하는 기능
-
한 대의 스위치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 위해 사용
-
트렁크 포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VLAN끼리는 스위치를 건너서도 통신이 가능
트렁크 포트
- 하나의 포트를 통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VLAN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포트
- 패킷이 전송될 때 패킷에 VLAN 정보도 같이 전송됨
VLAN을 나누는 방식
- 스태틱 VLAN
- 가장 일반적인 방식
- 스위치의 각 포트들을 원하는 VLAN에 하나씩 배정
- 대부분의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방법
- 다이내믹 VLAN
- 그 포트에 접속하는 장비의 맥 어드레스를 보고 그 주소에 따라 VLAN을 달리 배정하는 방식
- 장비가 스위치의 포트에 접속하기 전까지 스위치의 포트에 VLAN이 세팅되지 않음
트렁킹
- 여러 개의 VLAN들을 함께 실어나르는 것
ㄴ 여러 개의 VLAN을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
- 트렁킹 방식
- ISL 트렁킹
- 시스코 장비끼리만 사용하는 방식
- 네이티브 VLAN이 없고 모든 VLAN에 이름표를 붙임
- IEEE 802.1Q 방식 트렁킹
- 트렁킹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
- 네이티브 VLAN 존재
네이티브 VLAN
- 802.1Q의 특색있는 VLAN
- 이름표를 붙이지 않는 VLAN (특별대우)
- 패킷에 VLAN정보를 붙이지 않고 보내는 VLAN
- 모든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유일하게 한 개의 VLAN만을 네이티브 VLAN으로 세팅할 수 있음
VTP(VLAN Trunking Protocol)
- 스위치들 간에 VLAN 정보를 서로 주고받아 스위치들이 가지고 있는 VLAN 정보를 항상 일치시켜 주기 위한 프로토콜
- 시스코만의 프로토콜
- VTP 서버에서 한 번만 VLAN 정보를 설정해도 VTP 서버는 다른 스위치와의 트렁크 링크를 통해 VLAN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함
- 나머지 모든 스위치에 일일이 VLAN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음
- VTP 메시지는 오로지 VLAN 트렁크 포트를 통해서만 이동
VTP 간에 주고받는 메시지
- Summary Advertisement
- VTP 서버가 자기에게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들에게 5분마다 한 번씩 전달하는 메시지
- 자신이 관리하는 VTP 도메인의 구성에 대한 Revision 넘버를 보냄
- Subset Advertisement
- VLAN의 구성이 변경되거나, VTP 클라이언트로부터 Advertisement Request 메시지를 받았을 때 전송됨
- 실제 VLAN의 정보가 저장되어 전달됨
- Advertisement Request
- 클라이언트가 VTP 서버에 Summary Advertisement와 Subset Advertisement를 요청하는 용도로 사용
** VTP Revision 넘버
- VLAN이 추가, 삭제될 때마다 하나씩 증가함
- VTP 모드가 Transparent 모드면 넘버가 증가하지 않음
VTP의 3가지 모드
- VTP 서버 모드
- VTP 클라이언트 모드
- VTP 트랜스페어런트 모드
VTP Pruning
- 트렁크로 이동하는 VLAN 트래픽 중에서 갈 필요가 없는 트렁크쪽으로 트래픽이 흘러갈 경우 그 부분을 잘라내는 것
- 관계 없는 트래픽을 트렁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발생하는 대역폭 낭비를 막아줌
VLAN을 구성하기 위해서
- VTP 도메인 이름 만들기
- VTP 모드 설정
- VLAN 구성
++ VTP Pruning 설정, VTP 도메인에 패스워드 설정
서브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 하나를 작게 나눈 것
- VLAN을 쓸 때 사용하기 위해 나눔
-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는 실제로는 하나의 인터페이스이지만, 여러 개의 서브 인터페이스로 분리될 수 있음
오늘도 좋은 글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