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
-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길을 스스로 찾아 안내해주는 능력을 가짐
-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Layer 3 장비라고도 함
라우터가 하는 일
- Path Determination (경로 결정)
-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 결정
- 적절한 길을 찾기 위해 라우팅 알고리즘 사용
- 라우팅 알고리즘은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관리
- 위의 기능들을 위해 CPU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
- Switching(스위칭)
- 가는 길이 결정되면 그쪽으로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
라우터를 세팅하기 위해
- 라우터와 라우터에 필요한 케이블을 준비해야 함
- 단독형
- 모듈형
- 나중에 네트워크가 더 확장될 가능성이 있어서 라우터가 필요할 경우
-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가격이 나누어짐
라우터 사용시 많이 듣는 용어
- 인터페이스
- Ethernet
- 내부 네트워크와 접속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 내부의 허브나 스위치 등과의 연결을 위한 포트
- Serial
- WAN과의 접속을 위한 것
- 외부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위해서 사용하는 포트
- WAN 포트라고도 함
라우티드 프로토콜
- 라우팅을 당하는,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티드 프로토콜들에게 목적지까지 가장 좋은 길을 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
- 어떤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라우터의 성능이 결정됨
- 라우팅 알고리즘이라고도 함
-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기가 찾아갈 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록
라우팅 테이블
- 일종의 메모리
-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이 달라짐
-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거리, 어떻게 가야하는지 등에 대한 내용이 기록됨
-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업데이트 됨 -> 끊임없이 변함
- 라우터가 어떤 경로를 찾을 때 사용하는 것
- 라우터는 항상 최적의 경로를 찾아 라우팅 테이블에 유지
![](https://velog.velcdn.com/images/dlgmlfo04/post/77d918b3-814c-41d8-a6b4-848f81fbab5c/image.png)
- RAM에 저장되기 때문에 전원이 꺼지면 전부 지워짐
- 다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수초 ~ 수분 안에 다시 만들어짐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 한 번 정해놓으면 끝까지 정해진 그대로 수행하는 프로토콜
- 라우터에 사람이 일일이 경로를 입력
- 라우터는 사람이 입력해 준대로 데이터를 전송
- 라우터 자체에 부담이 되지 않아 라우팅 하는 속도도 빨라지고 라우터의 성능이 좋아짐
- 메모리도 적게 듬
- 라우터들끼리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할 필요가 없음
-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음
- 외부에 자신의 정보를 알리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강함
- 사람이 라우터에 일일이 경로를 넣어야 해서 귀찮음
- 입력한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큰일 발생
ㄴ 데이터 전송 안됨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
- 상황에 따라서 그때그때 변화가 가능한 프로토콜
- 경로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경로로 데이터 전송
- 라우터가 할 일이 많아져 부담을 줌
- RIP, IGRP, OSPF, EIGRP ...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라우터는 주로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많은 경로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 사용
AS(Autonomous System)
-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서 관리되는 라우터들의 집단
- 하나의 관리 규정 아래서 운용되는 라우터의 집단 또는 하나의 관리 전략으로 구성된 라우터 집단
- AS안에 있는 라우터들은 자신의 AS에 속해 있는 라우터에 대한 정보만 알고 있으면 됨
- 외부로 나갈 때는 AS에 있는 문지기 라우터에게 정보를 물어봐서 나감
- 내부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Interior Routing Protocol or Interior Gateway Protocol(IGP)
- ex) RIP, IGRP, EIGRP, OSPF ...
- 외부와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 Exterior Routing Protocol or Exterior Gateway Protocol(EGP)
- ex) EGP, BGP ...
- 본사와 지사 간에 라우터를 설치할 경우
: RIP, OSPF
- 본사의 라우터가 인터넷 서비스 업체와 연결해서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 BGP
![](https://velog.velcdn.com/images/dlgmlfo04/post/83f71589-b769-4ee1-b9ed-0ddd061c5715/image.png)
콘솔 연결 방법
![](https://velog.velcdn.com/images/dlgmlfo04/post/baa1eb2e-7b04-484f-900c-ff1bfc771521/image.png)
콘솔 방법의 장점
텔넷 방법의 장단점
- 라우터의 IP주소만 알고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만 되어 있다면 어디에서도 구성 가능
- 하지만 라우터 처음 구성시에는 IP주소가 없어 사용 불가능
-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질 경우 텔넷 접속이 불가능
AUX 포트를 통한 접속
-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겨 텔넷방법으로 접속할 수 없을 때 사용
- 모뎀에 대한 세팅이 모두 되어있어야 함
NMS에 의한 라우터 구성
- 그래픽 방식으로 라우터 세팅
- NMS를 구성하는 것이 어려움
TFTP 서버로 라우터 구성하는 방법
- 앞선 방법처럼 서버에서 직접 라우터로 세팅을 해주는 방식이 아님
- 이미 다른 곳에서 만들어 놓은 라우터 구성 파일을 TFTP 서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라우터로 다운로드해 주는 방식
- 다운로드에 TFTP 프로토콜 사용
라우터 모드
- RXBOOT 모드
- 평소에 사용하지 않음
- 문제 발생 시 복구용으로 만들어 놓은 모드
- ROMMON 모드라고도 함
- 셋업 모드
- 라우터를 처음 구매해서 전원을 켰거나 라우터에 구성 파일이 없는 경우 라우터가 부팅하면서 자동으로 들어가는 모드
- 유저 모드
- 현재 상태를 볼 수 있음
-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본다거나 구성 자체를 변경할 수 없음
- 프리빌리지드 모드
- 라우터의 운영자 모드
- 모든 라우터의 명령이 가능
- 라우터 구성을 볼 수 있고 변경할수도 있음
-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의 제약이 없음
- 구성 모드
- 라우터의 구성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모드
- Config 모드라고도 함
- 프리빌리지드 모드에서만 들어갈 수 있음
라우터의 구성보드에서 자주 쓰는 키
![](https://velog.velcdn.com/images/dlgmlfo04/post/fbab46e9-9e51-4093-b663-d01352ea8166/image.png)
라우터 내부
- RAM
- 라우터를 운용하는 운용 시스템이 올라감
- 운영체제, 라우팅 테이블, 구성파일 등이 올라감
- 확장 가능
- NVRAM
- 램에 저장된 것 중에 백업해야할 것들이 저장
- 라우터의 구성파일이 주로 저장됨
- Flash 메모리
- 라우터 운영체제 저장
-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음
- NVRAM에 비해 용량이 큼
- 확장 가능
- ROM
- 라우터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 저장
- 기본적인 IOS 저장
라우터 명령어
- show version
- show interface
- 라우터가 가지고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와 그 인터페이스의 상황을 알 수 있는 명령
- 특정 인터페이스만 보고 싶은 경우 명령어 뒤에 인터페이스 이름을 넣으면 됨
- show running-configuration
- 현재의 구성파일을 보는 명령
- run만 입력해도 됨
- 백업 구성 파일을 start라고 치면 됨
- show flash
- show processes cpu
라우터 비밀번호
- enable secret
- 프리빌리지드 모드로 들어갈 때 가장 먼저 물어보는 암호
- 자동으로 Encryption 됨
- 구성파일에서 암호를 보려고 해도 이상한 문자로만 보임
- 셋업 모드에서는 생략하고 넘어갈 수 없음
- enable password
- 구성파일에서 내가 입력한 값 그대로 보임
- enable secret이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
도움말 기능
- 내가 모르는 명령이나 대충 아는 명령도 도움말 기능을 활용하면 찾아낼 수 있음
- context sensitive help라고 함
- 물음표를 사용하여 도움말을 이용
- 글자에 바로 붙여서 쓰면 그 글자로 시작하는 명령을 찾아주고, 명령어 뒤어 한 칸을 띈 후 물음표를 입력하면 그 명령에서 줄 수 있는 옵션을 알 수 있음
게시물 잘 봤습니다!! 고생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