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ed Wired LAN : 물리적으로 타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구조. 이 네트워크는 인터넷이나 다른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데이터는 오직 LAN 내부에서만 전송되며, 외부와의 연결이 차단되어 있다.
Wireless LAN (ad hoc network) : 고립된 무선 LAN 환경은 고립된 유선 LAN 환경과 마찬가지이지만, 무선이다. 이런 고립된 무선 LAN은 물리적 배선 연결이 제한되는 장소에서 많이 사용된다.
Connecting to Other Networks
Wired Network : 내부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스위치와 외부 네트워크의 라우터를 통해 연결된다.
Infrastructure Network : 무선 LAN 환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구조이다. 무선 장치들이 Access Point (AP,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고, 이 AP는 유선 네트워크(라우터)와 연결된다. 즉, AP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Access Control : 유선 LAN에서 사용되는 CSMA/CD 알고리즘은 무선 LAN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CSMA/C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즉, 충돌 감지보단 충돌 회피 방식을 채택했다.
CSMA/CA and NAV
CSMA/CA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접근 제어 방식이다.
충돌 회피를 목표로 한다.
무선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매체가 사용 중인지 감지한다.
매체가 사용 중이라면 일정 시간동안 기다린 후 재전송을 시도한다.
링크를 감지할 때, CTS 신호를 통해 신호 증폭 효과를 얻는다.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CSMA/CA 동작을 보완하는 메커니즘이다.
무선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보낸다.
수신 호스트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보낸다.
RTS/CTS 프레임에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다른 호스트들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NAV를 설정하여, 해당 시간동안 매체 접근을 제한한다.
전송이 완료되면, 수신 호스트는 ACK 메시지를 링크 전체에 보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IEEE 802.11 : 무선 LAN의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계층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 프로젝트이다. 이는 Wireless Ethernet(무선 이더넷)이라고도 불리운다. IEEE 802.11 무선 LAN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서비스 구조는 다음과 같다.
Basic Service Set (BSS, 기본 서비스 셋)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그 AP에 연결된 무선 클라이언트들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들은 AP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단일 BSS 내에서는 AP가 클라이언트들의 접속을 관리한다.
Extended Service Set (ESS, 확장 서비스 셋)
여러 개의 BSS가 라우터에 의해 연결된 구조이다.
각 BSS의 AP는 고유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가지고 있다.
클라이언트는 SSID를 통해 특정 BSS에 접속할 수 있다.
IEEE 802.11
무선 LAN 기술에 대한 IEEE 표준 사양이다.
무선 LAN 연결을 위한 절차, 제한 사항, 값, 알고리즘 등을 정의한다.
기술 표준을 정의하지만, 실제 제품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Wi-Fi (Wireless Fidelity)
Wi-Fi Alliance라는 단체가 소유하는 브랜드 명이다.
Wi-Fi Alliance에서 정의한 사전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 마크이다.
Wi-Fi 제품은 IEEE 802.11 표준을 준수한다.
Wi-Fi 인증을 통해 여러 제품들 간 상호 호환이 보장된다.
Bluetooth : 단거리 무선 LAN 기술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특징
Ad hoc network : 별도의 인프라 없이 서로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함
Piconet : 서로 검색 가능한 장치들이 연결되어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를 형성함
한 장치가 Primary 장치가 되고, 나머지는 Secondary 장치가 되어 Primary 장치에 연결되는 형태이다.
MAC(Media Access Control) : MAC 계층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하위 계층(DCF, PCF)이 정의되어 있다. 이 두 계층은 LLC(Logical Link Control) Sub Layer와 Physical Layer 사이에 위치한다. MAC 계층에 대한 내용은 IEEE 802.11에 자세히 정의되어 있다.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분산 조정 기능)
기본적인 MAC 메커니즘을 수행한다.
경쟁 기반의 무작위 접근 방식(Random Access)을 사용한다.
충돌 감지 및 회피 기능을 제공한다.
Point Coordination Function (PCF, 점 조정 기능)
선점 기반의 비경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AP(Access Point)가 중앙 제어기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간 트래픽을 제어하는 데 유리하다.
IEEE 802.11 무선 LAN 표준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프레임 포맷
FC (Frame Control, 2byte) : 프레임의 유형과 다양한 제어 정보를 포함
D (Duration, 2byte) : 프레임 전송에 필요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Address Mechanism : IEEE 802.11의 주소 지정 메커니즘은 FC 필드의 To DS와 From DS 플래그 값에 따라 4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SC (Sequence Control, 2byte) : 프레임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Frame body (0 ~ 2312byte) : 실제 데이터가 포함된 부분이다.
FCS (Frame Check Sequence, 4byte) : 프레임 전체에 대한 에러 체크 정보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