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이란, 어떤 형태의 전송 매체를 통해 두 장치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다.Effectiveness of Data Communications System1). Delivery : 올바른 목적지에 전달해야함.2). Accuracy :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프로토콜이란 송신자와 수신자 및 모든 중간 장치가 효과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들의 집합이다. 통신이 복잡해질 때, 여러 계층으로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Protocol Layering (프로토콜 계층화) : 통신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
Analog Data : 연속적인 정보, 자연 상태에서 보여지는 대부분의 데이터는 아날로그이다.Digital Data : 이산적인 정보, 디지털과 달리 불연속적인 값을 갖고 있다. 주로 0과 1의 값으로 표현한다.Perodic (주기적) : 아날로그 신호, 데이터 신호
Data rate (데이터 전송률) : 1초 동안 전송되는 데이터 요소(비트)의 수를 정의한다. 이는 초당 비트 (bps)로 측정된다. 데이터 전송률이 높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Signal rate (신호 전송률) : 1초 동안 전송되는 신호
Binary Amplitude Shift Keying (ASK) :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파의 진폭을 변조한다. 이 방식은 데이터의 각 비트를 나타내기 위해 전파의 진폭을 변조한다.1). BASK에서는 전파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 비트를 표현한다.2).
Data Link Layer : 물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위치한다. 노드 간 통신을 담당한다. 인터넷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LAN과 WAN을 거친다. 일반적으로 두 끝단의 호스트와 라우터를 노드라고 하며, 그 사이의 네트워크를 링크라고
1. Cyclic Code Cyclic Code : 모든 코드 워드가 순환 이동을 통해 다른 코드 워드로 변환될 수 있다는 성질을 이용한 오류 검출 코드. 이런 특성을 통해 오류 검출이 어려운 특정 패턴 (연속 비트 오류)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수정할 수 있다. M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통신은 노드 간 통신이다. 인터넷의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데이터는 여러 네트워크(LAN, WAN)을 거쳐야 한다. LAN과 WAN은 라우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양 끝단에 있는 호스트와 라우터들을
데이터 링크 제어(DLC)는 두 인접 노드 간 통신 절차를 다룬다. 이는 링크가 유니캐스트 혹은 브로드캐스트 둘 중 어느것이라도 동일하다. DLC에는 Framing, 흐름 및 오류 제어가 포함된다.Fragmentation : 큰 데이터 블록을 작은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1. Media Access Control (MAC) Media Access Control (MAC) : 여러 노드 또는 Station이 Multipoint 혹은 Broadcast 링크를 동시에 사용하려고 할 때, 충돌을 방지하고 특정 노드가 링크를 독점하지 않도록
Ethernet Protocol :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LAN, WAN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을 정의한다.IEEE : IEEE의 802 프로젝트는 다양한 장비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1. Isolated Wired LAN and Wireless LAN Isolated Wired LAN : 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 네트워크는 인터넷이나 다른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데이터는 오직 LAN 내부에서만 전송되며, 외부와의
Connecting Devices : 연결 장치를 통해 호스트와 호스트, 호스트와 네트워크,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구축할 수 있다. 주요 연결 장치는 다음과 같은 Hub, Link-Layer Switch, Router, 총 3가지가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