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하는 경우 >
1. 깃허브 저장소(repository) 만들기
2. 인텔리제이 등에서 프로젝트 생성
3. 프로젝트 세팅
- auto import, 인텔리제이 내장 그래들 등
4. 터미널에서 "git init"으로 로컬 저장소 생성
rm -rf . git
- 원격 저장소는 setting 에서 삭제할 수 있다.
5.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연결
- 원격 저장소와 연결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git remote add origin (깃 저장소 주소)
git remote remove origin
git remote -v
6.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
- 장바구니에 파일 담기 (스테이징) ("."으로 전체 담음)
git add .
- 스테이징 확인 (담은것 초록, 안담은 것 빨강)
git status
7. 장바구니 커밋
git commit -m"(메시지)"
git log --oneline
8. 깃허브 원격 저장소에 저장
git push origin main
그런데 이거하면 개인 엑세스 토큰 필요함
깃허브 설정에 개발자 설정에서 생성가능
< 파일 수정이 생겨 커밋하는 경우 >
1. 장바구니 담기, 스테이징
git add .
2. 로컬 저장소 저장
git commit -m"(메시지)"
3. 원격 저장소 연동
git push origin 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