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GIS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보다는 기존에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거나,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지리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때문에 지리데이터를 확인하고 불러오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 국가공간정보포털이나 공공데이터 포털에서도 많은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1) 공간데이터 다운받기
데이터의 경우 무엇보다 신뢰성과 정확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국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게 좋다.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오픈마켓과 공공데이터 포털에서는 좋은 품질의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1] 국가공간정보포털
[링크]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798c9355-7003-4de9-9074-80c4ddf8d628/image.png)
개방공간에서 오픈마켓을 들어간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1b6d8c0a-7bc3-4311-9858-d37cf3d3e2d6/image.png)
행정동 경계를 받고 싶다면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d16a98f8-c137-48e1-afaf-5297454a79e5/image.png)
데이터와 정의서를 다운로드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796161b6-f457-48fe-ad38-ad5ea905770b/image.png)
파일은 엑셀파일(정의서)와 쉐이프 파일(.shp)을 확인할 수 있다.
[2] 공공데이터 포털
[링크]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cafb20ec-17bc-4ffa-b552-f30c59dcf31c/image.png)
공공데이터 포털에서도 다양한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4231e566-2da6-4941-b50f-f9bc9d1474f1/image.png)
전국초중등학교위치표준에 대한 정보를 찾게되면 다음과 같이 데이터에 대한 출처와 설명을 알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970ed386-bb89-412e-b7c8-59f4f33b28b3/image.png)
CSV로 다운로드를 눌러 파일을 저장해주자.
2) 데이터 불러오기
[1] SHP 파일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5992b9f2-27e3-48da-b511-efabb557c221/image.png)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벡터 레이어 추가]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b996e55c-e403-4cd7-afab-9af8ee6b2e63/image.png)
.shp 파일만 선택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a6e42b6b-61c4-4474-8539-06459c032bff/image.png)
추가를 선택하면 레이어에 데이터가 추가된다.
[2] CSV
SHP의 경우 .shp 파일 이외에 다른 파일로부터 좌표계와 데이터프레임등의 정보를 받아오기 때문에 자동으로 데이터가 저장이 된다. 하지만 CSV 파일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설정이 필요하다.
- CSV는 쉼표로 구분된 구분된 텍스트 데이터(comma-separated values)를 의미한다.
- 데이터를 쉼표를 기분으로 구분하여 2차원 데이터 형태를 나타낸다.
- 문자열 조립을 통한 간단한 형식 구조라 처리 과정이 쉽고 범용성이 뛰어나다.
- 데이터를 문자로 보관하기 때문에 용량이 작고 보관이 용이하다.
- 하지만 쉼표 사용에 제한이 있고 데이터가 쉽게 변형되거나 오염되기 쉽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de459a14-7ea5-4ccb-9c5f-e310a209b11b/image.png)
레이어 메뉴에서 구분자로 분리된 테스트를 선택하고 csv 파일을 불러온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705a7369-9151-4b4f-afd3-3140227b8209/image.png)
이때 데이터가 깨져서 나오는데 인코딩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bd55ca5b-54e5-4e03-9883-be8a977f458e/image.png)
인코딩을 EUC-KR로 변경해주면 깨지지 않고 잘 나온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6bbefd40-51a3-4acf-9e1b-ee8e0a8a6aa2/image.png)
파일 포맷의 경우 기본적으로 CSV로 되었다. 이는 쉼표를 기준으로 해당 데이터를 구성했다는 의미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4066a4db-1076-4f8a-bec6-960310dc9be6/image.png)
하지만 파일에 따라 쉼표가 아니라 탭이나 다른 문자로 구분자를 설정한 경우도 있으니 필요에 따라 파일 포맷을 변경해줄 필요도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a2beefed-754c-4b00-85fd-370176c17b34/image.png)
레코드와 필드에서는 첫 레코드가 필드 이름인지, 무시할 머리글 행 수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만약 데이터의 첫 줄이 필드 이름이 아니라면 해당 체크를 해제하면 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8543cb90-3681-4144-ae16-9694c4489d3e/image.png)
CSV는 도형에 대한 정의가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다. 해당 데이터는 데이터 내부에 경도와 위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X와 Y에 경위도를, 좌표계를 4326으로 설정해야 한다.
당연히 이 경우에는 포인트 도형만 표현할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122efce8-3824-4320-ad14-e7c51b3f912f/image.png)
CSV로 포인트 외에 도형을 표시하고 싶다면 WKT를 사용할 수도 있다.
- WKT는 텍스트를 통한 도형 정의를 의미한다
- 도형의 정의와 좌표값을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여 문자열로 기입힌다.
- WKT로 포인트, 라인스트링, 폴리곤 등을 표현할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aee52d68-d51b-4d84-ad2b-cd68598db3e0/image.png)
애초에 도형없이 데이터의 결합만을 위해 데이터 테이블만 있는 레이어를 추가할 수도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dltmdgus9661/post/af5f3d3f-01f5-41a7-8840-8f6735d8acab/image.png)
추가를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포인트들이 캔버스에 나타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