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r내에서 발생하는 delay
회로를 타고오면서 packet이 왔을 때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시간
Packet의 Header에 목적지 정라우터의 보를 보고 경로를 정해주는 시간
다른 delay에 비해 비교적 시간이 가변적이다.
단위 시간 당 데이터가 들어오는 양이 많으면 delay가 많이 발생
라우터의 queue에서 대기하는 시간
만약 queue에 데이터가 가득차면 packet loss가 발생 할 수 있다.
다른 delay에 비해 비교적 시간이 가변적이다.
queue를 빠져나가 라우터의 output link를 통해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
L: packet length(bits)
R: link bandwith(bps) bandwidth: 단위 시간당 보낼 수 있는 데이터 양 bps에서 b는 bit를 의미한다.
L/R = Packet의 길이 / 단위 시간 당 보낼 수 있는 양
transmission delay와 전혀 다른 delay이기에 서로를 명확히 구분
다음 라우터까지 이동하는 시간
d: length of physical link - link의 실질적인 길이를 나타낸다.
s: propagation speed in medium 매체에 따라서 속도가 달라진다.
d/s = link의 길이 / 매체(구리, 광) 속도
Router의 queue(buffer라고도 부른다.)는 공간이 유한적이기에 packet이 들어오는 양이 많아지면 packet들이 버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Queue에 packet이 가득찼을 때 버려지는 기준 -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 될 수 있다.
source(sender)에서 보낸 양 대비 destination(receiver)가 받은 양 / 최종적으로 목적지까지 도달한 데이터의 양
Bandwidth와 Troughput 비교 - bandwidth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 당 최대양이기에 Troughtput보다 크거나 같다.
최종적으로 Troughput의 결정하는 것은 bottlenech link(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서 제일 좁은 경로)이다.
만약 10개의 access Link가 있는 경우에는 Throughput은 어떻게 결정될까?
Rc,Rs, R/10(R을 전체 사용자로 나눈 것) 세개 중 가장 작은 값이 bottlenech이 되며, Throughput이 결정된다.
현재는 Rc,Rs에서 Throughput이 자주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