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구조

- 위에 사진이 리눅스의 프롬프트 구조
- 프롬프트는 컴퓨터가 입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기다리고 있다는 메세지
- ubuntu는 사용자 이름을 뜻함
- @ 뒤에 ip-172-31-43-117는 인스턴스 즉 컴퓨팅 이름
- ~ 은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로 기본으로 홈 디렉토리 위치가 표시됨
- 리눅스의 기본 프롬프트는 root유저는 #, 일반 유저는 $이다.
🚀리눅스 기본 명령어
ls (list)

-a :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보여줌
-l : 자세한 내용을 출력
-al :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출력
-m : 디렉토리는 파란색, 파일은 검정색으로 출력
-t : 시간 순으로 정렬 
cd (change directory)
- 디렉토리를 이동
- . (현재 디렉토리)
- .. (현재의 상위 디렉토리)

pwd (print working directory)

mv (move)
-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위치 이동 시 사용

touch

rm (remove)
- 파일이나 디렉토리 삭제
- 파일을 한 번 삭제를 하면 복구를 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함
- 폴더 하위에 파일이나 다른 폴더가 있다면 삭제를 진행할 수 없음
- 옵션
-r : 디렉토리 삭제를 위해 사용하며,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도 삭제됨
-i : 매번 삭제할때마다 사용자에게 삭제할 것인지 묻는다
mkdir

cat

- nano 편집기를 이용해 작성을 했으며, 프롬프트에 'nano 파일명' 을 입력하면 파일명에 해당하는 파일의 편집기가 열리고 안에 글을 작성해주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