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N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잘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해당 알고리즘이 가진 한계 때문이다.
단기 교통 상황 예측 (참고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616853627138&dbt=NART)
유해 이미지 차단 기술 (참고 : https://brunch.co.kr/@kakao-it/336)
하지만 위 사례들도 연구나 초기 설계에 K-NN 알고리즘이 사용되었을 뿐, K-NN 알고리즘이 최적격인 상황이라고 해석할 수는 없다.
내 생각에 K-NN 알고리즘은 여러 다른 알고리즘의 기반이 되었고, 딥러닝을 이해할 때 거쳐가는 하나의 개념이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