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 <footer>
, <p>
, <li>
, <table>
, <div>
, <h1>
)<span>
, <a>
, <img>
)li:nth-child(odd) {
background: red;
}
li:nth-child(even) {
background: blue;
}
이러한 코드를 입력하면
이렇게 변경할 수 있다!!
<table>
태그로 감싸져 있고 <table>
태그 내에서 행도 만들고 열도 만든다.<tr>
: table row의 줄임말로 행을 의미한다.<td>
: table data의 줄임말이다.<th>
: table heading의 줄임말로 사용하면 가운데 정렬이 되고 글씨 두께가 두꺼워진다. <table>
<tr>
<td>Row 1, column 1</td>
<td>Row 1, column 2</td>
</tr>
<tr>
<td>Row 2, column 1</td>
<td>Row 2, column 2</td>
</tr>
</table>
아직 css를 추가하지 않아서 선은 보이지 않는다.
rowspan : 행병합
colspan : 열병합
위처럼 테이블 데이터에 씌워서 활용하면 된다!!
<input>
태그에는 마침태그가 없다.
<input>
태그 뒤에는 많은 속성들이 따라오는데
<input type="text" placeholder="ID">
<input type="password" placeholder="비밀번호">
<input type="number" placeholder="학번">
<input>
태그보다는 조금 더 긴 텍스트를 입력받고 싶을 때 사용된다.
.relative {
position: relative;
}
.top-20 {
top: -20px;
left: 30px;
}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위로 20px 이동, 왼쪽에서 30px만큼 떨어지게 된 것 이다.
마이너스 값을 주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위로 올라가게 된다.
float: left
/ right
/ top
/ bottom
; 한 방향에 치우치게 이미지를 위치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