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Build 환경 구축

koline·2024년 7월 9일
0

AWS

목록 보기
10/18

이전포스팅에서 생성했던 인스턴트들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환경을 구성해보자.

Spring Boot (Gradle) + React + MySQL 배포 서버 세팅하기에서 계획했던 것처럼 두개의 Web 서버에 각각 React Application를 배포하기 위한 node.js를 설치할 것이고 두개의 WAS 서버에는 각각 JavaGradle을 설치할 것이다.




Web 서버


1. Web 서버 접속

EC2 대시보드 > 인스턴스 > WEB01 인스턴스 클릭

"연결" 버튼 클릭

"연결" 버튼 클릭

연결 완료

2. git 설치 확인

아마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가 되어 있을 것이다.

> git --version

설치가 되어 있다.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 sudo apt install git

3. node.js 설치

ubuntu 계정으로 설치하니까 전역으로 설치가 안되서 CodeDeploy를 적용할 때 문제가 생겼다.

sudo su - root

위 명령어로 root로 전환하거나 sudo 키워드를 꼭 사용해서 전역으로 설치하자.

# nvm 설치
>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7.2/install.sh | bash

# 설치 반영
> source ~/.bashrc

# 원격 node 버전 확인
> nvm list-remote

# 원하는 버전 설치
> nvm install v18.17.1

설치 완료!

++

# pm2 까지 설치해준다.
> npm install -g pm2

++

프리티어라 메모리 여유가 없다..

Swap 메모리를 2GB 정도 넣어준다.

4. 동일한 작업을 WEB02 서버에도 해준다.




WAS 서버


1. WAS 서버 접속

2. jdk 설치

# 버전에 맞는 jdk 설치
> sudo apt install openjdk-17-jdk

설치 완료

3. Java 환경변수 추가

아마 apt로 설치를 했다면 /usr/lib/jvm/ 디렉토리 하위에 jdk가 설치 되었을 것이다.

> sudo vi /etc/environment

# 아래 라인을 추가한 후 저장
JAVA_HOME="/usr/lib/jvm/java-17-openjdk-amd64"

# 수정한 파일 반영
> source /etc/environment

적용 완료

++

마찬가지로 Swap 메모리를 2GB 정도 넣어주기!

Swap 메모리를 추가 안하고 아래 작업을 진행했는데 서버가 수차례 뻗었다.
먼저 추가하고 진행하자.

4. Gradle 설치

# unzip 설치
> sudo apt install unzip

# 버전에 맞는 gradle 설치
> wget 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8.8-bin.zip

# /opt/gradle 경로 생성
> sudo mkdir /opt/gradle

# 생성된 경로로 gradle 압축 풀기
> sudo unzip -d /opt/gradle ./gradle-8.8-bin.zip

# gradle 환경변수 추가 스크립트 작성 > sh 파일로 생성
> echo "export PATH=$PATH:/opt/gradle/gradle-8.8/bin" | sudo tee -a /etc/profile.d/gradle.sh

# 환경변수 반영
> source /etc/profile.d/gradle.sh

5. WAS02 서버에도 동일하게 작업해주기

profile
개발공부를해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