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수학 정리(집합,경우의수,순열,조합)

WOOK JONG KIM·2023년 3월 2일
0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1. 집합

특정 조건에 맞는 원소들의 모임

HashSet 내장 기능 사용한 경우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자바에서 집합 사용(HashSet)
        HashSet set1 = new HashSet();
        set1.add(1); set1.add(1); set1.add(1); // 여러번 add 해도 1은 한번만 추가됨
        set1.remove(1);
        set1.size(); // 크기 출력
        set1.contains(2); // 특정 값 포함하는 지 또한 확인 가능(boolean)

//        2. 교집합
        HashSet a = new HashSet(Arrays.asList(1,2,3,4,5));
        HashSet b = new HashSet(Arrays.asList(2,4,6,8,10));
        a.retainAll(b); // a에 교집합의 원소만 남음 a = [2,4];

//        3. 합집합
        a.addAll(b); // a = [1,2,3,4,5,6,8,10]

//        4. 차집합
        a.removeAll(b); // a = [1,3,5]

    }
}
public class MySet {

    ArrayList<Integer> list;

    MySet(){
        this.list = new ArrayList<>();
    }

    MySet(int[] arr){
        this.list = new ArrayList<Integer>();

        for(int item: arr){
            this.list.add(item);
        }
    }

    public void add(int x){
        for(int item : this.list){
            if(item == x){
                return;
            }
        }
        this.list.add(x);
    }

    // 교집합(HashSet 메서드와 다르게 기존 값을 바꾸지 않게 만듬
    public MySet retainAll(MySet b){
        MySet result = new MySet();

        for(int itemA : this.list){
            for(int itemB : b.list){
                if (itemA == itemB){
                    result.add(itemA);
                }
            }
        }
        return result;
    }

    // 합집합
    public MySet addAll(MySet b){
        MySet result = new MySet();

        for(int itemA : this.list){
            result.add(itemA);
        }

        for(int itemB : this.list){
            result.add(itemB);
        }

        return result;
    }

    // 차집합
    public MySet removeAll(MySet b){
        MySet result = new MySet();

        for(int itemA:this.list){
            boolean containFlag = false;

            for(int itemB:b.list){
                if(itemA == itemB){
                    containFlag = true;
                    break;
                }
            }

            if(!containFlag){
                result.add(itemA);
            }
        }
        return result;
    }

}

2. 경우의 수

어떤 사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가짓수

동전을 던지는 사건 : 경우의 수 2
주사위를 던지는 사건 : 경우의 수 6

합의 법칙 : 사건 A 또는 사건 B가 일어날 경우의 수

ex) 두 개의 주사위를 던졌을때 합이 3 또는 4의 배수일 경우의 수

n(A U B) = n(A) + n(B) - n(A ∩ B);

곱의 법칙 :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경우의 수 -> n(A x B)

ex ) 두개의 주사위 a,b를 던졌을 때 a는 3의 배수, b는 4의 배수인 경우의 수

n(A x B) = n(A) x n(B) = 2x1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합의 법칙
        // 주사위 2개를 던졌을때 합이 3 또는 4의 배수일 경우
        int[] dice1 = {1,2,3,4,5,6};
        int[] dice2 = {1,2,3,4,5,6};

        int nA = 0; int nB = 0; int nAandB = 0;

        // 기본 풀이
        for(int item1: dice1){
            for(int item2: dice2){
                if((item1 + item2) % 3 == 0){
                    nA += 1;
                }
                if((item1 + item2) % 4 == 0){
                    nB += 1;
                }
                if((item1 + item2) % 12 == 0){ // 최소 공배수
                    nAandB += 1;
                }
            }
        }

        System.out.println("결과 : " + (nA + nB - nAandB));

        // HashSet 이용
        HashSet<ArrayList> allCase = new HashSet<>();
        for(int item1 : dice1){
            for(int item2 : dice2){
                if((item1 + item2) % 3 == 0 || (item1 + item2) % 4 == 0){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Arrays.asList(item1, item2));
                    allCase.add(list);
                }
            }
        }
        System.out.println("결과 : " + allCase.size());

        // 곱의 법칙(두개의 주사위 a,b를 던졌을 때 a는 3의 배수, b는 4의 배수인 경우의 수)
        nA = 0;
        nB = 0;

        for(int item1 : dice1){
            if(item1 % 3 == 0) {
                nA++;
            }
        }
        for(int item1 : dice2){
            if(item1 % 4 == 0){
                nB++;
            }
        }
        System.out.println(nA * nB);
    }
}

최대 공약수, 최소공배수, 약수 구하는 메서드

// 약수,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 구하기
// 활용) 1-10의 수 중 A의 약수 또는 B의 약수인 경우의 수
// 활용) 1-10의 수 중 A의 약수이면서 B의 약수인 경우의 수
public class Practice {

    //약수
    public ArrayList getDivisor(int num){
        ArrayList result = new ArrayList();

        for(int i = 1; i <= (int) num/2; i++){ // 절반까지만 for문 돌린 이유 잘 생각하자!
            // ( num / 2 에서 num말고 약수가 될수있는 가장 큰수는 num /2)
            if(num % i == 0){
                result.add(i);
            }
        }
        result.add(num);

        return result;
    }

    // 최대 공약수 (GCD : Greatest Common Denominator)
    public int getGCD(int numA, int numB){
        int gcd = -1;

        ArrayList divisorA  = this.getDivisor(numA);
        ArrayList divisorB = this.getDivisor(numB);

        for(int itemA : (ArrayList<Integer>)divisorA){
            for(int itemB : (ArrayList<Integer>)divisorB){
                if (itemA == itemB){
                    if(itemA > gcd) gcd = itemA;
                }
            }
        }
        return gcd;
    }

    // 최소 공배수(LCM : The Lowest Common Multiple) -> 두 수를 곱한 뒤 최대공약수로 나누어 주면 됨
    public int getLCM(int numA, int numB){
        int lcm = -1;

        int gcd = this.getGCD(numA, numB);

        if(gcd != -1){
            lcm = numA * numB / gcd;
        }
        return lcm;
    }
}

3.순열

팩토리얼 : 1에서 n까지 모든 자연수의 곱(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 팩토리얼
        int n = 5;
        int result = 1;

        for(int i = 1; i <= n; i++){
            result *= i;
        }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 스트림으로 팩토리얼 구현
        System.out.println(IntStream.rangeClosed(2,n).reduce(1, (x,y) -> x * y));

        // 2. 순열

        //5명을 3줄로 세우는 경우의 수
        n = 5; int r = 3; result = 1;

        for(int i = n; i >= n-r+1; i--){
            result *= i;
        }

        // 3. 중복 순열

        // 서로 다른 4개의 수 중 2개를 뽑는 경우(중복 허용)
        n = 4; r = 2; result = 1;

        for(int i = 0; i < r; i++){
            result *= n;
        }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System.out.println(Math.pow(n, r));

        // 4. 원순열
        n = 3; result = 1;
        for(int i = 1; i < n; i++){
            result *= i;
        }
    }
}
public class Practice1 {

    // arr안의 숫자를 이용하여 r자리 자연수를 만드는 방법(순서 O, 중복 X) 각 결과를 출력하기
    void permutation(int[] arr, int depth, int n, int r){

        // depth는 자릿수
        if(depth == r){
            for(int i = 0; i < r; i++){
                System.out.print(arr[i] + " ");
            }
            System.out.println();
            return;
        }

        for(int i = depth; i < n; i++){
            swap(arr,depth,i);
            permutation(arr, depth+1, n, r);
            swap(arr,depth,i);
        }
    }
    // 배열로 자릿수 계속 이동시키기(특정 자릿수의 숫자와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 바꿈)
    void swap(int[] arr, int depth, int idx){
        int tmp = arr[depth];
        arr[depth] = arr[idx];
        arr[idx] = tm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 code
        int[] arr = {1,2,3,4};

        Practice1 p = new Practice1();
        p.permutation(arr, 0, 4, 3);
    }
}

위 재귀과정 다시 한번 이해해보고 코드로 직접 구현해보자!

우선 여기서 depth란 함수가 현재 몇째짜리 숫자를 처리하고있는지 나타내는 숫자라고 생각
-> divide and conquer 관점에서 접근하자

첫번째 swap은 해당 depth 자리에 숫자를 고정?하는 느낌이라고 생각하자!

두번째 swap 함수는 반복문에서 바꾼 순서를 다시 원래대로 되돌리기 위해 호출
-> 즉 depth 자리에 고정된 숫자를 원래 대로 되돌려 놓은 후 그다음 반복문의 첫번째 swap을 통해 해당 depth 자리에 다른 숫자를 고정

위 문제에 대한 다른 해결 방법(마찬가지로 재귀 사용)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Practice2 {
    void permutation(int[] arr, int depth, int n, int r, boolean[] visited, int[] out){

        if(depth == r){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out));
            return;
        }

        for(int i = 0; i < n; i++){
            if(visited[i] != true){
                visited[i] = true;
                out[depth] = arr[i];
                permutation(arr, depth+1, n, r, visited, out);
                visited[i] = false;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est code
        int n = 4;
        int r = 3;
        int[] arr = {1,2,3,4};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
        int[] out = new int[r];

        Practice2 p = new Practice2();
        p.permutation(arr,0,n,r,visited,out);
    }
}

순서 예시

  1. permutation 함수가 depth=0, visited={false, false, false, false}, out={0, 0, 0}으로 호출됩니다.
  2. for 루프에서 i=0인 경우 visited[0]을 true로 변경하고 out[0]에 arr[0] 값을 할당합니다.
  3. permutation 함수를 depth=1, visited={true, false, false, false}, out={1, 0, 0}으로 재귀호출합니다.
  4. for 루프에서 i=0인 경우 visited[0]이 이미 true이므로 건너뜁니다.
  5. for 루프에서 i=1인 경우 visited[1]을 true로 변경하고 out[1]에 arr[1] 값을 할당합니다.
  6. permutation 함수를 depth=2, visited={true, true, false, false}, out={1, 2, 0}으로 재귀호출합니다.
  7. for 루프에서 i=0인 경우 visited[0]이 이미 true이므로 건너뜁니다.
  8. for 루프에서 i=1인 경우 visited[1]이 이미 true이므로 건너뜁니다.
  9. for 루프에서 i=2인 경우 visited[2]을 true로 변경하고 out[2]에 arr[2] 값을 할당합니다.
  10. permutation 함수를 depth=3, visited={true, true, true, false}, out={1, 2, 3}으로 재귀호출합니다.
  11. depth 값이 r과 같으므로 out 배열을 출력하고 재귀호출을 끝냅니다.

위와같은 순서가 계속 이어짐


4.조합

public class Practice {

    static int getCombination(int n, int r){
        int pResult = 1;
        // nPr
        for(int i = n; i >= n-r+1; i--){
            pResult *= i;
        }

        int rResult = 1;
        // r!
        for(int i = 1; i <= r; i++){
            rResult *= i;
        }

        return pResult / rResul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 조합, 서로 다른 4명 중 주번 2명을 뽑는 경우
        int n = 4;
        int r = 2;

        System.out.println("결과 : " + getCombination(4,2));

        // 2. 중복 조합, 후보자 2명, 유권자 3명일때 무기명 투표 경우의 수(중복 허용)
        n = 2; r = 3;

        System.out.println("결과 : " + getCombination(n+r-1, r));
    }
}
public class Practice2 {

    // arr안의 숫자를 이용하여 r자리 자연수를 만드는 방법(순서 X, 중복 X) 각 결과를 출력하기
    // ex : 1,2,3,4의 경우 만들어 질수 있는 수 -> 123, 124, 134, 234 (4가지)
    void combination(int[] arr, boolean[] visited, int depth, int n, int r){

        if(r == 0){
            for(int i = 0; i < n; i++){
                if(visited[i]){
                    System.out.println(arr[i] + " ");
                }
            }
            System.out.println();
            return;
        }

        if(depth == n){
            return;
        }

        visited[depth] = true;
        combination(arr, visited, depth+1, n, r-1);

        visited[depth] = false;
        combination(arr, visited, depth+1, n, 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rr = {1,2,3,4};
        boolean[] visited = {false, false, false, false};

        Practice2 p = new Practice2();
        p.combination(arr,visited,0,4,3);
    }
}

이 부분도 재귀식 잘 이해하기!


profile
Journey for Backend Developer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