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나 건물처럼 비교적 좁은 범위 내의 컴퓨터를 전용 케이블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 LAN이 구축되지 않은 환경에서는 외부 저장 장치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한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의 형태. 스타형, 버스형, 링형 등이 있다.
스타형 LAN
: 허브라는 접선 장치를 중심으로 각 컴퓨터를 연결하는 방식. 배선의 자유도가 높고, 허브를 서로 연결하여 계층 구조를 만들 수도 있다. 현재 이더넷에 의한 스타형 LAN이 주를 이룬다.
버스형 LAN
: 버스라고 하는 한 개의 케이블에 컴퓨터를 연결하는 방식. 버스에 흐르는 패킷이 모든 컴퓨터에 전달되며, 수신자 이외에는 패킷을 파기한다. 컴퓨터의 대수가 늘어나 통신량이 증가하면 콜리젼(패킷 충돌)이 발생한다.
링형 LAN
: 버스라고 하는 링 형태의 케이블 하나에 컴퓨터가 접속하는 방식. 패킷은 한 방향으로만 흐르고, 컴퓨터는 자신이 수신인이면 수신하고, 아니면 다음 컴퓨터로 보낸다. 컴퓨터가 한대라도 고장나면 통신 장애가 발생한다.
이더넷
: CSMA/CD 방식이란,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아무도 송신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조와 동시 송신이 발생한 경우 충돌을 검출하는 구조에 의해 통신 제어를 실시하는 방식이다. 이더넷은 이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규격이다.
토큰 링
: 링형 LAN에 속하고, 네트워크상에 송신할 권리를 나타내는 토큰 이라는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컴퓨터는 이 토큰이 수신되면 그 뒤에 데이터를 추가하고, 토큰을 받은 컴퓨터는 자신이 대상이면 데이터를 추출하고 토큰만 다시 전송한다.
무선 LAN
: 무선으로 통신하는 LAN, 일반적인 무선 LAN 접속 방법은 '인프라 모드'다. '액세스 포인트'라는 기지국을 사용하는 것으로, 개별 컴퓨터는 무선 LAN 어댑터의 기능을 통해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속한다.
PLC
: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의 약어로, 송전용 전기 배선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기술. 콘센트에 전용 PLC 어댑터를 설치하여 전기 배선을 사용해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60Mpbs 전후의 속도가 나온다.
블루투스
: 2.4GHz 대역을 사용해 컴퓨터나 주변 기기, 휴대폰 등에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규격이 아니라 기기 상호간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격이라 무선 LAN과는 용도가 다르다.
공인 IP 주소
: 전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라는 것을 보장하는 IP 주소. 개인이 마음대로 할당할 수 없어 나라마다 전문 기관이 있다.
사설 IP 주소
: IP는 32비트 정수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공인 IP 주소와 제한된 범위 안에서 사용하는 사설 IP 주소로 나눈다. 이 주소로 공용 공간인 외부와는 통신할 수 없고, NAT나 IP 마스커레이드같은 수단을 사용해 변환해야 한다.
워크 그룹 네트워크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 OS에서 기본적인 네트워크 관리 수단. 서버가 아니라 각 클라이언트끼리 워크 그룹이라는 단위로 그룹화해 서로 자원을 공유하는 분산 관리형 네트워크. 자유롭게 파일이나 프린터 공유를 설정할 수 있지만, 보안적인 면은 취약하다.
도메인 네트워크
: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를 도메인이라는 단위로 집중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서버에 의해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되며, 계정 추가, 삭제, 비밀번호 인증 등을 도메인 컨트롤러(서버)에서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서버를 여러대 설치해 장애를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