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구성 | 분류 |
|---|---|---|
| 응용 소프트웨어 | 고급언어 프로그램 | 소프트웨어 |
| 어셈블리 프로그램 | 어셈블리 프로그램 | |
| 하드웨어 | 프로그래머 모델(프로세서 구조, 명령어 집합) | 컴퓨터 구조 |
| 컴퓨터 조직(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 ||
| 논리회로 | ||
| 반도체 기술 |
| 계층 | 대상 |
|---|---|
| 논리회로 | 2진수, 부울대수, 조합 논리회로, 순차 논리회로 |
| 컴퓨터 조직 |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시스템 버스 |
| 프로그래머 모델 | 프로세서 구조, 기억장치 구조, 명령어 집합 |
제어장치: "어떤 동작을 하라"고 지시하는 장치. 이 명령을 받아서 처리 장치에 제어 신호 만들어서 제공.처리장치: 처리할 데이터를 입력 받아서 계산한 다음 처리한 결과 출력.순차논리회로. 계산하는 조합논리회로| 구분 | 조합 논리회로 | 순차 논리회로 |
|---|---|---|
| 기본 소자 | 논리 게이트 | 플립플롭 |
| 동작 표현 | 진가표, 논리식, 논리회로도 | 상태도, 상태표, 논리회로도 |
| 설계 도구 | 간소화, 하드웨어 시뮬레이션 | 간소화, 하드웨어 시뮬레이션 |
| 빌딩 블록 | 가산기, 비교기, 디코더, 인코더,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 레지스터, 시프트 레지스터 카운터 |
폰 노이만 구조라고도 함 (🚨매우 중요🚨)
기계식(1600년대): 산술 계산용. 유럽에서 세계 여러 대륙 항해하던 시대에 무역 발달에 따라 세금 계산이 필요해져서 계산 빨리 하기 위한 기계식 계산기들이 만들어지기 시작
1940년대 이후 전자식 컴퓨터 👉 스위칭 소자(회로 on/off)를 무엇으로 만들었느냐에 따라 세대 분류
1세대 진공관: 1946년 애니악. 전자식 컴퓨터의 시작
🖐 진공관: 큰 거 주먹 사이즈, 작은 거 손가락
2세대 트랜지스터: 자기 코어 기억장치, 초기 고급 언어 도입
🖐 진공관에 비해 1개의 크기가 1cm 이하(0.5cm)라 굉장히 작음
3세대 직접회로(IC; Integrated Circuit): 반도체 기억장치, 운영체제
🖐 직접회로: 트랜지스터 여러 개를 1개의 칩으로 만든 것 => 컴퓨터 더 작아짐
이 시기 RAM, ROM 만들어지고 운영체제 도입
4세대 대규모 직접회로(VLSI): 마이크로 프로세서 (1971년)
🖐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칩 1개에 10만 개 이상~ 100만 개 정도의 스위칭 소자를 넣은 것
1945년 폰 노이만이 내장형 프로그램 구조 제안
현대 전자식 컴퓨터에 채용돼 있음
마이크로 — 10^(-6)프로세서 — 처리하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