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1. DataBase, DBMS, SQL 의 개념

dogpaw·2023년 10월 9일
0

DB와 SQL

목록 보기
2/4

DataBase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B데이터의 저장소로 예를 들어 오늘 보내고 받은 카카오톡 메시지, 버스/지하철에서 찍은 교통카드, SNS에 등록한 사진 등 일상생활 대부분의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DBMS라고 한다. 간단히 말해 데이터베이스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계층형, 망형, 관계형 DBMS 중 대부분의 DBMS가 테이블로 구성된 관계형 DBMS(RDBMS) 형태로 사용된다.

DBMS를 사용하면

  • 데이터 입출력 및 백업이 간편해짐
  • GUI 기반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눈으로 볼 수 있어 직관적임
  • 저장할 데이터를 미리 검사할 수도 있음
  • DB 접속용 계정 생성도 가능

    위와 같은 장점이 있으며, 종류로는 Oracle, MySQL, MariaDB, MSSQL, MongoDB 등이 있다.

SQL : DBMS에서 사용하는 언어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표준 SQL을 배우면 대부분의 DBMS를 사용할 수 있다.

DB 개발 도구

DB Tool, DataBase IDE 라고도 한다. SQL을 사용해서 DB를 조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대표적 DB 개발 도구는 Oracle SQL Developer, MySQL Workbench, Microsoft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DBeaver 등이 있다.

용어 정리

  1. CRUD : create(insert), read, updqte, delete 를 이르는 말로 앞글자를 따서 축약해서 사용함
  2.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테이블 구조를 정의하는 명령어
    create(테이블 생성), alter(기존 테이블 수정), drop(테이블 삭제), truncate(테이블 내용 삭제, idx =0)
  3.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
    select : DB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조회 및 검색하는 명령어
    insert, update, delete : DB에 들어있는 데이터에 변형을 가하는 종류의 명령어
    여기서 delete는 테이블 내용을 삭제하지만, idx는 유지-기억함
  4. DCL(Data Controll Language) :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렁어
    grant(권한 주기), revoke(권한 뺏기)
  5.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묶어서 DML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트랜잭션 별로 제어한다. 여기서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DB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말한다. 보통 DBMS 성능을 초당 트랜잭션이 몇개가 실행되었는지로 측정한다.

profile
내가 모를 때 보려고 만든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