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에서 제공하는 Config 패키지 라는게 있다. 이게 무엇이냐면 Nest에서 dotenv(환경변수)를 내부적으로 활용하는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ConfigModule을 동적으로 생성해 볼 수 있다고 한다.
Redis란 위키백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고 한다.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서 Key-Value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array, collection, date 등 데이터의 필수적인 구조를 쉽게 다룰 수 있게끔 하는데에 사용된다고 한다.
MDN에 따르면 MVC(모델-뷰-컨트롤러)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및 논리 제어를 구현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이며 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두고있다고 한다.
이미지의 업로드 과정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이미지는 놀랍게도 실제로 DB에 넣지 않고 이미지를 다운받을수 있는 URL을 넣는다고 한다.
위키백과와 MDN에 따르면 이렇다.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웹 페이지 상의 제한된 리소스를 최초 자원이 서비스된 도메인 밖의 다른 도메인으로부터 요청할 수 있게 허용하는 구조라고 한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JWT는 JSON 웹 토큰은 선택적 서명 및 선택적 암호화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인터넷 표준으로 페이로드는 몇몇 클레임 표명을 처리하는 JSON을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
ERD란 위키백과에 따르면 데이터 모델링 분야에서 개체-관계 모델이란 구일조화된 데이터에 대한 일련의 표현이라고 한다.
우리가 데이터베이스를 접하면 꼭 알아두어야할 DTO, DAO, VO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