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ers 인공지능 데브코스 - Week 1 Day 3

donchanee·2020년 12월 3일
0

[1주차 - Day3]

셋째날은 Hash, sorting, greedy 알고리즘에 대해 복습했다.

누군가에겐 처음 듣는 알고리즘일수 있지만, 일단 CS전공이라면 보통 알고있는 알고리즘이다.

적어도 한번쯤은 들어봤을만한?

쨌든, 강사님이 주신 풀이는 꽤나 좋은 접근법에, 좋은 풀이여서 아주 만족스러운 학습이었다.


Programmers 완주하지 못한 선수

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Solutions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1
    hash_T = {}						   #2
    
    for i in participant:				   #3
        hash_T[i] = hash_T.get(i, 0) + 1		   #4
    for i in completion:				   #5
        hash_T[i] -= 1					   #6
    dnf = [k for k,v in hash_T.items() if v > 0]	   #7
    return dnf[0]					   #8

풀이과정 :

해쉬테이블 생성 -> 참여한 선수 해쉬테이블 삽입 -> 완주한 선수 삭제

#2번 라인에서 Dictionary 형태로, 해쉬테이블 자료구조를 만들게 된다.

#3-4 번 라인에서 Hash Table에 get 메소드를 이용해서, 값이 있으면 그 값에 1을 더해주고, 없으면 0에 1을 더해주며 값을 새로 만들어 준다.

#5-6 번 라인에서는 완주한 선수들을 해쉬테이블에서 찾아서 1씩 빼준다.

#7 번 라인에서 키와 밸류를 모두 가져와, 밸류가 0보다 큰 경우 키값을 넣어주면 인덱스가 선수이름이기 때문에, 0번 인덱스에 있는 선수가 완주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dnf(do not finished) 배열에 여러명이 있을 경우에도 가능한 방법.

시간복잡도

시간복잡도 부분에서는 해쉬테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수시간안에, 또한 리니어하게 탐색하기 때문에 Big-O 표기법으로 작성하면 O(n) 정도이다.


Programmers 체육복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Solutions

1  def solution(n, lost, reserve):
2      s = set(lost) & set(reserve)
3      l = set(lost) - s
4      r = set(reserve) - s
5  
6      for x in sorted(r):
7          if x-1 in l:
8              l.remove(x-1)
9          elif x+1 in l:
10             l.remove(x+1)
11
12  return n- len(l)

풀이과정 :

2번 라인에서는, 도난당했으면서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을 교집합을 사용하여 판별해주었다.

3번 라인에서는, 도난당한 학생중에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을 차집합을 사용하여 판별해주었다.

4번 라인에서는,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 - 2번 라인의 학생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사람 중에서만 도난당한 사람에게 빌려주면 된다. 여기서, 2번라인을 빼준 이유는 도난당한 사람이 자신의 여벌의 체육복을 입으면 되기 때문이다.
( 시간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모든 학생을 탐색 X,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만 탐색 O )

그러므로, 6-10번라인에서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을 탐색하며 앞의 학생 -> 뒤의 학생 순서로 도난 당한 학생이 있는지 파악하고 체육복을 빌려주기로 하였다.

또한, return할 경우 전체 학생에서 도난당하였고, 빌리지 못한 학생의 수를 빼주면 되기때문에 간단해졌다.

시간복잡도

30명 이하이기 때문에 따로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set는 상수시간안에 해결이 가능하고 또한 sorted는 최대 O(Nlogn)의 시간이 걸립니다.


Programmers 가장 큰 수

문제 설명

어떤 숫자에서 k개의 수를 제거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숫자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 1924에서 수 두 개를 제거하면 [19, 12, 14, 92, 94, 24] 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큰 숫자는 94 입니다.

문자열 형식으로 숫자 number와 제거할 수의 개수 k가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에서 k 개의 수를 제거했을 때 만들 수 있는 수 중 가장 큰 숫자를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number는 1자리 이상, 1,000,000자리 이하인 숫자입니다.
k는 1 이상 number의 자릿수 미만인 자연수입니다.

Solutions

def solution(numbers):
    numbers = sorted(list(map(str,numbers)), 
    		     key= lambda x: x*5, reverse=True)
    return str(int(''.join(numbers)))

딱히 인사이트는 없었기 때문에 패스


Programmers 큰 수 만들기

문제 설명

어떤 숫자에서 k개의 수를 제거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숫자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 1924에서 수 두 개를 제거하면 [19, 12, 14, 92, 94, 24] 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큰 숫자는 94 입니다.

문자열 형식으로 숫자 number와 제거할 수의 개수 k가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에서 k 개의 수를 제거했을 때 만들 수 있는 수 중 가장 큰 숫자를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number는 1자리 이상, 1,000,000자리 이하인 숫자입니다.
k는 1 이상 number의 자릿수 미만인 자연수입니다.

Solutions

def solution(number, k):
    collected = []

    for i, num in enumerate(number):
        while len(collected) > 0 and collected[-1] < num and k > 0:
            collected.pop()
            k -= 1
        if k == 0:
            collected += list(number[i:])
            break
        collected.append(num)

    collected = collected[:-k] if k > 0 else collected

    return ''.join(collecte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