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vi 에디터의 3가지 모드

김동준·2023년 10월 11일
0

Linux

목록 보기
1/3

📌 vi 에디터란?

  • vi는 빌 조이가 만든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쓰이는 오픈 소스 문서 편집기이다. "Visual editor"에서 이름을 가져왔다.


    vi로 시작하여 개량버전이 등장하였고 그것을 VIM(vi improved)이라고 부른다. 쉽게 말해 vi에디터의 개량형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둘의 주목할만한 큰 차이는 없다.

📌 vi 에디터 3가지 모드

vi에디터에는 3가지의 모드가 있다.

  1. 입력모드

    • 문서에 실질적으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이다.
    • 명령모드에서 i를 누르면 왼쪽 하단에 INSERT라고 표기되면서 전환된다.
      (i 말고도 다른 명령이 있다. 뒤쪽에서 자세하게 살펴본다)

  1. 명령모드

    • 에디터를 실행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모드이다.
    • 말그대로 다양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모드이다.
    • 다른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진입하려면 ESC키를 누르면 된다.
    • 무언가를 작성하고 싶으면 INSERT모드로 전환해야한다.

  1. 실행모드

    • 명령모드에서 ':'를 누르면 커서가 하단으로 떨어지면서 실행모드로 전환된다.
    • 입력모드에서는 직접 전환할 수 없으므로 명령모드를 거쳐야한다.

  1. vi 에디터 실행화면(명령모드)
    -무언가를 작성하고 싶다면 i를 눌러 INSERT모드로 전환하자.

2.INSERT 모드
-insert모드로 전환되면 왼쪽 하단에 insert가 등장한다. 이제 텍스트를 타이핑 할 수 있다.

  1. 실행모드
    -insert모드에서 실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명령모드로 전환해야한다. ESC를 누르면 명령모드로 전환이 된다.
    실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를 입력해준다. 누르면 커서가 아래로 떨어진다. 이 상태에서 원하는 명령을 입력해주고 ENTER를 누른다.

vi editor의 기본인 3가지 모드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각 모드는 어떻게 사용하며 어떠한 명령어가 있는지 알아보자.

profile
동구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