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컴퓨터 시스템의 초기화 기능
② 효율적인 자원 관리와 할당 기능
③ 고급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기능
④ 오류 검사 및 복구 기능
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② 주변장치 관리
③ 데이터 압축 및 복원
④ 신뢰성 향상
① 처리 능력 ② 비용 ③ 신뢰도 ④ 사용 가능도
①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일종의 하드웨어 장치이다.
②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③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요소에는 처리 능력, 반환시간, 사용 가능도, 신뢰도 등이 있다.
④ 운영체제는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장치, 파일 등을 관리한다.
① 시스템의 오류 검사 및 복구
②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 제공
③ 원시 프로그램에 대한 토큰 생성
④ 자원 보호 기능 제공
① 일괄 처리 형태에서 사용자 대기시간을 줄이는 대화식 처리 형태이다.
② 여러 사용자가 프로세서를 공유하고 있지만, 마치 자신만이 독점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③ 좋은 응답시간을 제공하려고 각 사용자에게 일정 프로세서 시간만큼 차례로 할당하는 SJF 스케줄링을 사용한다.
④ 단위 작업 시간을 time slice라고 한다.
① 여러 작업의 입출려과 계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② 스풀 공간으로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사용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다.
③ 제한된 수의 입출력장치만 사용하여 입출력 작업의 지연을 방지한다.
④ 저속의 입출력장치에서 읽어 온 자료를 우선 중간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컴퓨터 시스템 내의 한정된 각종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요구할 때, 어느 정도 신속하고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이다.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 자원의 수나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 등 요소가 좌우하는 것으로, 같은 종류의 시스템 자원 수가 많을 때 높아질 수 있다.
① reliablility ② throughput ③ turn around time ④ availability
① real time processing system ② batch processing system
③ time sharing system ④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① multiprocessing system ② time sharing system
③ real time system ④ multiprogramming system
① 링킹(linking) ② 사이클 스틸링(cycle stealing) ③ 스풀링(spooling) ④ 페이징(paging)
① 신뢰도 ② 처리 능력 ③ 응답시간 ④ 프로그램 크기
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한다.
②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③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 및 자원의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④ 2개 이상의 목적 프로그램을 합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든다.
① 기억장치 보호(storage protection) ② 기억장치 상호 배치(storage interleaving)
③ 버퍼링(buffering) ④ 폴링(polling)
① 실시간 처리 시스템 ② 시분할 시스템 ③ 다중 처리 시스템 ④ 일괄 처리 시스템
㉠일괄 처리 시스템 ㉡ 분산 처리 시스템
㉢ 다중 모드 시스템 ㉣ 시분할 시스템
① ㉠-㉣-㉢-㉡ ② ㉢-㉡-㉣-㉠ ③ ㉠-㉢-㉣-㉡ ④ ㉢-㉣-㉡-㉠
· 시스템이 정확하게 작동하는 정도
· 하드웨어적인 오류의 자체 회복 재시도
· 소프트웨어의 오류에 대한 상세한 메시지 제공
· 상호 조회 시스템 구성
① 처리 능력 증대 ② 응답시간 단축 ③ 신뢰도 향상 ④ 사용 가능도 증대
① throughput ② reliability ③ turn around time ④ availability
① 일괄 처리 ② 다중 프로그래밍 ③ 대화식 처리 ④ 온라인 처리
①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② 자원 스케줄링 및 효율적 운영
③ 신뢰도 향상 및 반환시간 증가
④ 주변장치 관리
① 다중 사용자와 다중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서 자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자원을 분배하는 스케줄링을 담당한다.
② 프로세서, 메모리 공간,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 자원을 관리한다.
③ 운영체제의 종류로는 매크로 프로세서, 어셈블러, 컴파일러 등이 있다.
④ 입출력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① 사용자의 편리한 환경 제공
② 처리 능력 및 신뢰도 향상
③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최적화
④ 언어 번역 및 자원의 효율적 사용
· 교착 상태 예방, 회피, 발견, 회복 등 처리 문제
· 프로세서와 자원의 할당 문제
· 메모리 관리 문제
· 병행성 제어 문제
· 공존하는 프로그램 간의 충돌 해결 문제
① 메모리 및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②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
③ 다중 프로그래밍 방법 사용
④ 프로세서 처리 속도 및 입출력장치의 속도 차이
① 분산 처리 시스템(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② 일괄 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
③ 실시간 시스템(real time system)
④ 병렬 처리 시스템(paralled processing system)
①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② 적절한 작업 제어 언어(JCL)을 제공해야 한다.
③ 실행 결과를 즉시 받아 볼 수 있어 응답시간이 짧다.
④ 비슷한 성격의 작업을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자원의 효과적 관리 및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 시스템의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한다.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① ㉠, ㉣ ② ㉡, ㉣ ③ ㉠, ㉡, ㉢ ④ ㉠, ㉡, ㉢, ㉣
① 하나의 프로세서를 여러 작업이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사용함으로써 각 작업은 프로세서를 공유한다.
② round-robin 방법이라고도 한다.
③ 다중 프로그래밍 방법과 결합하여 마치 모든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처럼 대화식 처리가 가능하다.
④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려고 작업량이 일정한 수준이 될 때까지 모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한다.
㉠ 목적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로드 모듈을 연결하여 실행 가능한 로드 모듈을 만든다.
㉡ 사용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한다.
① ㉠, ㉡ ② ㉠, ㉢, ㉣ ③ ㉡, ㉢, ㉣ ④ ㉠, ㉡, ㉢, ㉣
① 다중 프로그래밍은 실행 시간이 짧은 작업에 유리하고, 시분할 처리는 실행 시간이 긴 작업에 유리하다.
② 다중 프로그래밍과 시분할 처리는 모두 일정하게 나눈 시간만큼 작업에 할당한다.
③ 다중 프로그래밍과 시분할 처리 모두 실행 시간이 긴 작업에 유리하다.
④ 다중 프로그래밍은 처리량의 극대화를 꾀하고, 시분할 처리는 응답시간의 최소화를 꾀한다.
①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함께 메인 메모리에 적재하고, 이들이 처리장치를 번갈아 사용하며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다중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② 컴퓨터 한 대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대화식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처리 속도가 매우 빨라 각 사용자는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인식하는 시스템을 일괄 처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③ 프로세서를 둘 이상 설치하여 여러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시스템을 다중 처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④ 컴퓨터 여러 대가 작업을 나눠 처리하고, 그 내용이나 결과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호 교환하도록 연결된 시스템을 분산 처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①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운영하는 제어 루틴으로 구성된다.
② 운영체제 이외의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가 제공한 기능에 의존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에 접근한다.
③ 운영체제는 일종의 시스템 명령어이므로, 사용자는 운영체제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없다.
④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