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분해 정리

STATS·2023년 8월 22일
0

수리통계학

목록 보기
40/40

인수분해 정리

X1,...,XnX_1, ..., X_n의 결합 확률 함수가 f(x1,...,xn;θ)f(x_1, ..., x_n;\theta)일 때,
S(X)=(S1(X),...,Sk(X))S(X) = (S_1(X), ..., S_k(X))kk개의 통계량이라고 하자.

SS가 결합충분통계량 \Leftrightarrow f(x1,...,xn;θ)=g(s(x);θ)h(x1,...,xns)=g(s;θ)h(x1,...,xn)f(x_1, ..., x_n ; \theta) = g(s(x); \theta)h(x_1, ..., x_n|s) = g(s;\theta)h(x_1, ..., x_n)

증명 (이산형)
S(X)S(X)의 확률함수를 fS(s)f_S(s)라고 하자.

()(\Rightarrow) SS가 결합충분통계량이면 f(x1,...,xn;θ)=fS(s;θ)fXS(x1,...,xns)f(x_1, ..., x_n;\theta) = f_S(s;\theta)f_{X|S}(x_1, ..., x_n | s)이다. 이 때 충분통계량의 정의에 따라 fXS(x1,...,xns)f_{X|S}(x_1, ..., x_n|s)는 모수 θ\theta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fSf_Sgg, fXSf_{X|S}hh에 대응하면 f(x1,...,xn;θ)=g(s;θ)h(x1,...,xn)f(x_1, ..., x_n;\theta) = g(s;\theta)h(x_1, ..., x_n)이다.

()(\Leftarrow) fS(s;θ)=P(S=s;θ)f_S(s; \theta) = P(S= s; \theta)이다. SSX1,...,XnX_1, ..., X_n에 대한 함수이므로 P(S=s;θ)=x{XS(X)=s}f(x1,...,xn;θ)P(S=s;\theta) = \sum_{x \in \{X | S(X) = s\}} f(x_1, ..., x_n;\theta)가 성립한다. 따라서 x{XS(X)=s}f(x1,...,xn;θ)=x{XS(X)=s}g(s;θ)h(x1,...,xn)=g(s;θ)\sum_{x \in \{X | S(X) = s\}} f(x_1, ..., x_n;\theta) = \sum_{x \in \{X | S(X) = s\}} g(s;\theta)h(x_1, ..., x_n) = g(s;\theta)이고, c(x)=x{XS(X)=s}h(x1,...,xn)c(x) = \sum_{x \in \{X | S(X) = s\}} h(x_1, ..., x_n)라고 하면 fS(s;θ)=g(s;θ)c(x)f_S(s;\theta) = g(s;\theta)c(x)가 된다.

따라서 f(x1,...,xns)=f(x1,...,xn;θ)fS(s;θ)=h(x1,...,xn)c(x)f(x_1, ..., x_n|s) = \frac{f(x_1, ..., x_n;\theta)}{f_S(s;\theta)} = \frac{h(x_1, ..., x_n)}{c(x)}이고 c(x)c(x)θ\theta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SS는 결합충분통계량이다.

증명 (연속형)
()(\Rightarrow) XT1X|T_1θ\theta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하자.
Ti=wi(X)T_i = w_i(X)를 만족하는 일대일대응 함수 hih_i를 설정하자. 그렇다면 Xi=hi1(T)X_i = h_i^{-1}(T)를 만족하는 hi1h_i^{-1}도 찾을 수 있다.

이 때 TT의 확률함수 fT(Tθ)=fX(Xθ)Jf_T(T|\theta) = f_X (X | \theta) |J|를 만족한다. JJ는 변환의 자코비안이다.

T1T_1의 주변 확률 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T1(t1θ)=fX(Xθ)JdT2dTn=fX(h11(T)hn1(T)θ)Jf_{T_1}(t_1 | \theta) = \int_{-\infin}^{\infin} \cdots \int_{-\infin}^{\infin} f_X(X|\theta)|J|dT_2\cdots dT_n = \int_{-\infin}^{\infin} \cdots \int_{-\infin}^{\infin} f_X(h_{1}^{-1}(T) \cdots h_n^{-1}(T)|\theta)|J|

따라서 T1T_1의 확률함수 fT1f_{T_1}θ\thetaTT에 의존하는 함수이다.

fX(Xθ)=f(X,T1θ)=fXT1(XT1,θ)fT1(T1θ)f_X(X|\theta) = f(X, T_1 | \theta) = f_{X|T_1}(X|T_1, \theta)f_{T_1}(T_1|\theta)인데 f(XT1,θ)f(X|T_1, \theta)T1T_1이 결합통계량이므로 θ\theta에 의존하지 않는 함수이고, f(T1θ)f(T_1|\theta)T1T_1θ\theta에 의존하므로 fT1f_{T_1}gg, fXT1f_{X|T_1}hh에 대응하면 증명이 완료된다.

()(\Leftarrow) f(xθ)=g(T1θ)h(X)f(x|\theta) = g(T_1|\theta)h(X)를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f(XT1,θ)=f(X,T1θ)fT1(T1θ)=f(Xθ)f(Xθ)JdT2dTn=g(T1θ)h(X)g(T1θ)h(X)JdT2dTn=h(X)h(X)JdT2dTnf(X|T_1, \theta) = \frac{f(X, T_1 |\theta)}{f_{T_1}(T_1 | \theta)} = \frac{f(X|\theta)}{\int_{-\infin}^{\infin} \cdots \int_{-\infin}^{\infin} f(X|\theta) |J| dT_2 \cdots dT_n} \\ {} \\ = \frac{g(T_1|\theta)h(X)}{\int_{-\infin}^{\infin} \cdots \int_{-\infin}^{\infin} g(T_1|\theta)h(X) |J| dT_2 \cdots dT_n} = \frac{h(X)}{\int_{-\infin}^{\infin} \cdots \int_{-\infin}^{\infin} h(X) |J| dT_2 \cdots dT_n}

따라서 f(XT1,θ)f(X|T_1, \theta)θ\theta에 의존하지 않는 함수이므로 T1T_1은 충분통계량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