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분해 정리
X1,...,Xn의 결합 확률 함수가 f(x1,...,xn;θ)일 때,
S(X)=(S1(X),...,Sk(X))를 k개의 통계량이라고 하자.
S가 결합충분통계량 ⇔ f(x1,...,xn;θ)=g(s(x);θ)h(x1,...,xn∣s)=g(s;θ)h(x1,...,xn)
증명 (이산형)
S(X)의 확률함수를 fS(s)라고 하자.
(⇒) S가 결합충분통계량이면 f(x1,...,xn;θ)=fS(s;θ)fX∣S(x1,...,xn∣s)이다. 이 때 충분통계량의 정의에 따라 fX∣S(x1,...,xn∣s)는 모수 θ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fS를 g, fX∣S를 h에 대응하면 f(x1,...,xn;θ)=g(s;θ)h(x1,...,xn)이다.
(⇐) fS(s;θ)=P(S=s;θ)이다. S는 X1,...,Xn에 대한 함수이므로 P(S=s;θ)=∑x∈{X∣S(X)=s}f(x1,...,xn;θ)가 성립한다. 따라서 ∑x∈{X∣S(X)=s}f(x1,...,xn;θ)=∑x∈{X∣S(X)=s}g(s;θ)h(x1,...,xn)=g(s;θ)이고, c(x)=∑x∈{X∣S(X)=s}h(x1,...,xn)라고 하면 fS(s;θ)=g(s;θ)c(x)가 된다.
따라서 f(x1,...,xn∣s)=fS(s;θ)f(x1,...,xn;θ)=c(x)h(x1,...,xn)이고 c(x)는 θ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S는 결합충분통계량이다.
증명 (연속형)
(⇒) X∣T1가 θ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하자.
Ti=wi(X)를 만족하는 일대일대응 함수 hi를 설정하자. 그렇다면 Xi=hi−1(T)를 만족하는 hi−1도 찾을 수 있다.
이 때 T의 확률함수 fT(T∣θ)=fX(X∣θ)∣J∣를 만족한다. J는 변환의 자코비안이다.
T1의 주변 확률 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T1(t1∣θ)=∫−∞∞⋯∫−∞∞fX(X∣θ)∣J∣dT2⋯dTn=∫−∞∞⋯∫−∞∞fX(h1−1(T)⋯hn−1(T)∣θ)∣J∣
따라서 T1의 확률함수 fT1은 θ와 T에 의존하는 함수이다.
fX(X∣θ)=f(X,T1∣θ)=fX∣T1(X∣T1,θ)fT1(T1∣θ)인데 f(X∣T1,θ)는 T1이 결합통계량이므로 θ에 의존하지 않는 함수이고, f(T1∣θ)는 T1과 θ에 의존하므로 fT1을 g, fX∣T1을 h에 대응하면 증명이 완료된다.
(⇐) f(x∣θ)=g(T1∣θ)h(X)를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f(X∣T1,θ)=fT1(T1∣θ)f(X,T1∣θ)=∫−∞∞⋯∫−∞∞f(X∣θ)∣J∣dT2⋯dTnf(X∣θ)=∫−∞∞⋯∫−∞∞g(T1∣θ)h(X)∣J∣dT2⋯dTng(T1∣θ)h(X)=∫−∞∞⋯∫−∞∞h(X)∣J∣dT2⋯dTnh(X)
따라서 f(X∣T1,θ)는 θ에 의존하지 않는 함수이므로 T1은 충분통계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