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필기.. )
하나하나 복습해보장

<web service 구조>
웹서비스 : 기계 간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시스템
client와 server가 정보를 교환하며 통신한다.
client -(request )-> server --(processing..)-⌉
client -(response)<- server <--------------.⌋

김천에서 김밥을 주문하려고 할때와 비교해서 설명해주셨다.
주소를 가지고 이동하기 = IP-HOST 접속(url입력)
주문하기 = parameter 전달
** 이때 전달방식이 여러개 있는데 예시로 GET,POST방식이 있다.
이때 김천메뉴 = API
API란..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으로 함수호출을 server가 할 수 있게 원격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ID/PW등의 parameter는 url호출시 필요한 재료라고 생각하면 된다.
방식 : header
{"Auth" : "Key" }
client는?
: 컴퓨터, pc, 핸드폰, edge,... 내가 만드는 것이 곧 클라이언트.(서버에 정보를 요청하는 무언가)

뭘 응답하나요?
1.page(html, css, js) -> rendering O
2.data (json,xml) -> rendering X
브라우저가 rendering해준다는 것은 사용자가 볼 화면을 그려내준다는 것이다.
rendering하는 순간 이때부터 이 정보는 client(실은 브라우저)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네이버화면에 글자같은거 바꿔도 됨 (물론 새로고침 하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