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7, 8강

Dorito·2022년 9월 28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6/7

https://www.youtube.com/watch?v=3MkI3FBFzX8&feature=share&utm_source=EJGixIgBCJiu2KjB4oSJEQ 영상을 기반으로 IT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 구글링을 기반으로
개인 학습용으로 정리한 문서입니다.

4계층(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

3계층에서 멀리있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대역을 찾아가고 2계층에서 그 네트워크의 특정 컴퓨터를 찾아갔다면 4계층에서는 해당 특정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특정 프로그램을 찾아주는 역할

목적지 단말안에서 동작하는 여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중 통신해야 할 목적지 프로세스를 정확히 찾아가고 패킷 순서가 바뀌지 않도록 잘 조합해 원래 데이터를 잘 만들어내기 위한 역할

4계층에서 하는 일

4계층 프로토콜의 종류

포트번호

포트번호의 특징

Well-known 포트

Registered 포트

Dynamic 포트


프로그램의 연결 정보

어떤 프로세스끼리 연결되어있는지 확인

sudo lsof -i:3000
sudo kill 09 {PID}

비연결 지향형 UDP 프로토콜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UDP는 음성 데이터나 실시간 스트리밍과 같이 시간에 민감한 프로토콜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나
단방향으로 다수의 단말과 통신해 응답을 받기 어려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됨.

UDP는 TCP와 달리 통신 시작 전, 3way handshake와 같이 사전에 연결을 확립하는 절차가 없다.
그 대신 UDP에서 첫 데이터는 리소스 확보를 위해 인터럽트 (Interrupt)를 거는 용도로 사용되고 유실된다.
그래서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대부분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동작하거나 연결 확립은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애플리케이션끼리 모든 준비를 마친 후 실제 데이터만 UDP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라우터 설정 : 수동, 라우터끼리 자동으로 업데이트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HTTP 3에서 UDP 사용

https://en.wikipedia.org/wiki/HTTP/3

https://en.wikipedia.org/wiki/QUIC

https://evan-moon.github.io/2019/10/08/what-is-http3/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