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티티 코드란 Html 문서에서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코드 입니다.요즘은 UTF-8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특수문자가 깨지지 않지만 W3C는 엔티티 코드가 아닌 특수 문자는 오류로 인식하기 때문에 특수 문자는 엔티티 코드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http
아마존은 ppt로 발표를 진행하지 않는다우리가 바꿀 수 있는 지표에 최선을 다한다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8032094
인스타그램의 창업 스토리요약타깃 설정의 영민함과 입소문의 파급력 이 만들어낸 폭발적 성공지금도 많은 창업가와 마케터들의 주요 고민은 "잘 만든 제품과 서비스를 어떻게 알릴까?" 이다.사실 상위권을 차지하는 앱과하위권에 머무르는 앱,5년을 넘기는 업체와1년정도밖에 못 버
공감은 어떻게 기업의 매출이 되는가?? 링크 > 1. 리더는 떠드는 사람이 아니라 떠들게 만드는 사람이다. "그런데" 보다는 "그리고"를 통해 공감의 디테일을 챙기자 공감은 싸우지 않고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결국 존중과 사랑을 받는 사람이 가장 높은 곳에 오
JWT 토큰을 만들기 위해 jsonwebtoken이라는 모듈을 설치해줍니다랜덤 문자열을 받아오기 위해 터미널에를 입력해주시구위 값을 복사해 .env 파일에서 JWT_SECRET 값으로 설정해주겠습니다.윈도우를 사용한다면 원하는 아무문자열이나 직접 입력해도 됩니다(문자열
해시를 만드는 함수와 해시를 검증하는 함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의 모듈을 설치해주어야합니다!모델 메서드는 모델에서 바로 사용할수 있는 함수를 말해요! 모델 메서드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인스턴스 메서드 = 인스턴스(할당된 부분)에서 사용 가능 함수스태틱 메서드 =
회원인증 서비스를 구현하려다 보니 JWT라는것을 알게되었어요!JWT는 JSON Web Token 의 약자로, 데이터가 JSON으로 이루어져 있는 토큰입니다.(두 개체가 서로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웹 표준으로 정의된 기술이라고 합니다)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포스트의 인스턴스를 만들 때는 new 키워드를 사용하고 생성자 함수의 파라미터에 정보를 지닌 객체를 넣습니다.인스턴스 생성 이후에는 save() 함수를 실행시켜 DB에 저장시켜야 합니다.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할 때에는 find()함수를 사용합니다.find()함
평소에 아무 생각없이 쓰고있었던 어플들의 ux, ui 디자인이 많은 사람들의 고민과 노력이 있었다는것을 알게된것 같아요 > 개발자의 입장이 아닌 실사용 유저의 입장에서 어떤것이 불편했는지 어떤게 편하다고 느꼈는지 다시한번 고민해 보게 된것 같아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
mongoose에는 스키마와 모델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 둘은 혼동하기 쉽습니다. 스키마는 컬렉션에 들어가는 문서 내부의 각 필드가 어떤 형식으로 되어 있는지 정의하는 객체입니다.이와 달리 모델은 스키마를 사용하여 만드는 인스턴스로,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제 작업을 처
문서는 한개이상의 키-값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문서는 BSON(바이너리 형태의 JSON) 형태로 저장됩니다.새로운 문서를 만들면 \_id라는 고윳값을 자동으로 생성하는데, 이 값은 시간, 머신아이디, 프로세스아이디, 순차번호로 되어 있어 값의 고유함을 보장합니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한계데이터 스키마가 고정적↳ 새로 등록하는 데이터 형식이 기존의 데이터들과 다르다면 기존 데이터들을 모두 수정해야 함확장성↳ RDBMS는 저장하고 처리해야 할 데이터양이 늘어나면 여러 컴퓨터에 분산시키는게 아닌 해당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성능을
api 라우트 내부에 posts 라우트를 만들어줄겁니다api폴더를 만들고, 그 내부에 index.js 파일을 만들어주세요src/api/posts/index.js이 객체에는 현재 요청의 메서드, 경로, 파라미터를 담았습니다.코드를 완성한 후 api 라우트에 posts 라
src 안에 api 폴더를 만들고 안에 index.js파일을 만드세요!index.jssrc/api/index.js 파일을 불러오기 위해 기존 src/index.js의 내용을 모두 지우고 새로 추가하겠습니다.http://localhost:4000/api/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