쥬륵 ... 구글링해보니 많은 정보가 있지는 않았지만 node,npm 버전 오류인 경우가 많다고 했다.만약에 node -v 를 했을때 버전이 확인되지 않으면 밑에 링크가서 명령어를 쳐야한다.링크 : https://github.com/nvm-sh/nvm를 치면
갓 공식문서 링크 : https://docs.nestjs.com/.env 파일경로는 기존 root 에다가 만들어주면 된다. 실수로 밖에다 둬서 ^^... 어이없이 시간을 허비했다요 ...스캐마에 이렇게 export 를 해줘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의존성
오늘은 저번에 이어 🦁 NestJs 에서 테스트를 해보자! > 🦁 NestJs 인스톨하면 JEST 는 기본적으로 저렇게 다 설치되어있다 대박 ... 저기에서 우리는 watch 를 쓰고 마지막에는 cov 로 봐볼예정이다. CRUD 유닛테스트는 어느정도 해봤
Express 에 대해 공부하다가 Express 에 대한 단점을 보게 되면서 NestJs 도 꼭 한번 해봐야겠다 생각을해서 이번에 실천하게 된것이다.웹서버를 가볍고 쉽게 빠르게 구현하고 구조에 대한 자유도도 상당히 높다.개발자들이 여러 툴, 기술, 미들웨어 등 마음껏
Docker는 계속해서 여기에 정리하면서 내가 했던 프로젝트에 적용해볼생각이다!서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안정성 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도커를 이용하면 서버를 날리는 실수는 있을 수 없는 서버를 구축 할 수 있다고 한다! (오 대박...)도커는 리눅스 컨테이너 방식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 이다.인덱스를 활용하게 되면 데이터를 조회하는 SELECT 외에도 UPDATE나 DELETE의 성능이 함께 향상된다. 인덱스는 보통 Where 와 같은 조건을 사용하기 때문에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반대로 말하자
특정 크기만큼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메모리상에서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특징을 갖기때문에, index를 통한 접근이 용이하다.배열의 크기는 처음 생성할 때 정하며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다.1) 위 그림처럼 연속된 공간에 데이터들이 나열되어 있기
링크드 리스트 또는 트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링크드 리스트를 바탕으로 한번 알아보자 !테이블 크기가 5일 때 해시로 1을 반환하는 1001, 11, 21, 31 을 저장할 때 분리 연결법을 사용하면 밑에 그럼처럼 된다.수행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어떻게
해시 테이블은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우선 살펴보자위 그림을 살펴보면 해시 함수를 통해 152 라는 인덱스를 배정받고 Smith 와 Dee 가 충돌되고 있는걸 볼 수 있다. 이렇게 같은 인덱스를 배정 받으면 어떻게 처리해주면 좋을까?해시 충돌이 발생하
해시 ? 프로젝트를 했을때 JWT 로 유저들의 회원가입을 구현을 했었었다. 그리고 회원가입을 하면 우리는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DB에 저장했지요. 여기서 문제 🧑🏫 입력받은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 내부 DB에 저장이 되겠지요
정렬된 리스트에서 탐색 범위를 절반씩 줄여가며 값의 위치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이다배열 내부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변수 3개(start, end, mid)를 사용하여 탐색한다.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해서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my_string을 거꾸로 뒤집은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1 ≤ my_string의 길이 ≤ 1,000my_string = "jaron" || return = "noraj"(주륵.
이야기를 하자면 굉장히 길어질 수 있어 짧게 최대한 짧게 줄여보겠다.내 인생에 있어 선택에 순간이 왔고 주위분들과 상담을 하며 여러 생각을하며 개발자의 길로 가기로 결정했다. 문제는 어떤 학원을 선택하느냐였다. 꽤 여러군데를 상담받으러 다녔는데 이 곳에 몇가지를 적어보
오늘은 스택 과 큐에 대해 알아봅시다. 사실 스택 같은 경우에는 이벤트루프 에서 Call Stack 으로 한번봐서 조금 익숙하기는 했다 ㅎ.ㅎ > 자 스택은 쌓아 올린다 라는 것을 의미 합니다. >> 책을 쌓는 것처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구조 >>> 그림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쿼리를 모아 놓은 하나의 작업의 단위SELECT, INSERT, DELETE, UPDATE 와 같은 행동을 뜻함ACID =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격리성.고립성(Is
Node.js 에 대해 알아보자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 로 동작하기 때문에 단일 스레드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많은 작업을 수행한다고 한다.Web APIsEvent TableCallback QueueEvent Loop🎸🏮🏮(기타등등) ...Heap: 메모리 할당이 발생하
'주소 값'을 복사한다는 의미객체를 복사할 때, 해당 객체만 복사하여 새 객체를 생성복사된 객체의 인스턴스 변수는 원본 객체의 인스턴스 변수와 같은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며 해당 메모리 주소의 값이 변경되면 다른 객체의 변수 값 역시 동일하게 변경된다.'실제 값'을 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