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영역) = 인터넷 전화번호부
IP ==== 도메인
컴퓨터 사람,회사
DNS 서버의 역할
RFC1912.zone
원래 도메인
192.168.10.10 com.sevas.www [ netid/hostid netid (sevas.com) hostid (www) ]zone 정방향 A/AAAA : 도메인이 기준 www.sevas.com. === 1.0.0.127
rev 역방향 PTR : ip가 기준 127.0.0.1 === .com.sevas.www
. root Domain (모든 도메인정보 기록) ( . =도메인의 시작.. 평소엔 생략)
192 kr top level-1 (국가) ex) kr,cn,jp,au
. Global level
168 co top level-2 (기관) ex)net = 네트워크기관
com = 영리목적기관
org = 비영리목적기관
gov = 정부기관
mil = 군사기관
edu = 교육기관
.
1 sevas(도메인신청) second level sevas (도메인회사에서 결정).
10 www (사용자가 만듬) sub domain www 웹서버
mail 메일
mgr 관리
ftp 파일
RFC1912 정의 : 예외 기법 (IP와 도메인 역매칭)
공인도메인
www.sevas.co.kr .서버 kr 서버 co 서버 sevas서버(도메인 등록)사설도메인
www.sevas.co.kr .kr.co.sevas 서버
주소 조회
-DNS 서버와 네임 서버에 의한 IP 주소 조회
- 서비스 추가 → 역할 추가 → DNS서버 → 다음 → 다음 → 설치
- DNS : dnsmgmt.msc
- **DNS 레코드**
> NS 네임서버
A 정매칭 레코드 도메인 => IP
PTR 역매칭 레코드 IP => 도메인 (보통 많이 X)
CNAME 별칭
MX 메일 서버 레코드
SOA start of authority (도메인 시작,대표 도메인,도메인 인증) 권한 시작
>
- **DNS 서버 분류 -** 3가지
> primary 주영역 (DNS 서버 설정 메인)
secondry 보조영역 (DNS 메인 서버의 보조 복사본 저장)
forward 캐싱네임서버 (다른 네임 서버로 연결해주는 DNS서버)
>
- (SOA 변경) => DNS 인증 ( 일련번호,재시도 ,재갱신등등....)
- 정방향 조회 영역 → 새영역 → 주영역→ 도메인네임 → 쭉 다음 → 마침
와이어샤크
- 네트워크 추가(미니와 vmnet 일치)
window
mini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