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spanning-Tree Protocal)

:)·2024년 5월 17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8/20

STP (spanning-Tree Protocal)

  • Looping: Ethernet Frame이 장비에서 빙빙 도는 것 → 이중화 사용 시 발생 가능성 ↑
    • 설정을 통해 우선순위 지정에 도움을 줌
      • spanning-tree vlan 10 root primary
        spanning-tree vlan 20 root secondary

  • 스위치가 루핑 구조로 될 때 한쪽 포트를 막아줌 (막은 포트는 경로 문제 발생 시 풀어줌)
    • BPDU : 스패닝 정보 프레임
    • BridgeID(BID) → SW 우선순위 (낮은게 우선순위)
    • RB : RootBridge→ BID가 가장 낮은 브릿지
    • NRB : Non Root Bridge → RB가 아닌 모든 브릿지
    • RP : Root Port → NRB중 RB랑 가장 가까운 포트
    • DP : Designated port→BPDU송신
    • NDP : BPDU수신→ block되는 포트
  • RB선출 순위 (아이디가 가장 낮을수록 우선)
    • cost ID > sender Bridge ID > port ID
  • 동작 과정
    • blocking : 루핑 막기(20초뒤 청취)
    • Listening : Mac테이블 준비(15초)
    • learning : Mac주소 학습 (15초)
    • forwarding : 실제 데이타 전송
    • blocking stat(20) → listening stat(15) → learning stat(15)
    • forwarding까지 50초 소요 (스위치 포트가 황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시간)
  • 강제로 빠르게 포트 풀기

    int fa0/1
    spanning-tree portfast

profile
:) GITHUB: https://github.com/YJ2123412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