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개념
- 네트워크 0.0.0.0 = 2^8.2^8.2^8.2^8 1~256 0~255
1 0000 0000 256
1000 0000 128
100 0000 64 1 0000 0000 256
1111 1111 255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x = netID (네트워크 대역) 0~255
0 = hostID (호스트 대역) 0~255
- x32 x-> 그래픽, 프래폼 X
x64 64bit
- bit(공간) = 2진수 십진수 1 = 10^0 10=10^1 100=10^2 제일 큰 수 9
이진수 1= 2^0 10 =2^1(2) 100(4) = 2^2(4) 제일 큰 수 1
16진수 제일 큰 수 f (9 a b c d e f)
- 2진수 2^0 = 1 0 0000 0001 = 1
2^1 = 2 0 0000 0010 = 2
2^2 = 4 0 0000 0100 = 4 ****
2^3 = 8 0 0000 1000 = 8
2^4 = 16 0 0001 0000 = 16 *
2^5 = 32 0 0010 0000 = 32
2^6 = 64 0 0100 0000 = 64
2^7 = 128 0 1000 0000 = 128
2^8 = 256 1 0000 0000 = 256 *** A 1000 0000 2^8=256 128
B 1100 0000
C 1110 0000 승은 0부터 시작
- 사설 IP: 자체적으로 인터넷 사용 X, (ISP를 통해서만 가능) 네트워크망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중복 사용 가능(중복 O) -> 주로 개인들이 사용
공인 IP: 자체적으로 인터넷 사용 o, 단 1개만 사용 가능(중복 x)
- 사설->공인 가능
- 공인->사설 불가능 (일방통행)
- 사설 IP
A 10.0.0.0
B 172.16.0.0 ~172.31.0.0
C 192.168.x.0
- 맨 앞자리 숫자에 따라 클래스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일치해야 하는 대역이 달라짐
- 정리
-
네트워크는 규모별로 A B C 클fo스로 나뉨( 0~127 , 128~191 , 192~223 )
-
네트워크는 왼쪽에서 오른쪽
호스트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
-
네트워크 연속된다. 1000 0000 128
1100 0000 128+64 192
1110 0000 128+64+32 224
-
네트워크가 연속되지 않으면 오류( 1001. 0000. ... X)
-
같은 네트워크끼리만 통신이 가능
-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GW가 필요하다.
-
127.0.0.0 ~127.255.255.255 대역은 loopback대역
-
loopback = localhost = 127.0.0.1로 불리기도 하며 인터넷 사용 불가
-
자가 점검 용으로 쓰이는 IP 127.0.0.0/8 대역은 통신IP로 사용하지 않음 (GW 가 없음)
-
가능한 맨 끝 자리의 숫자들만 바꾸기(앞에도 가능은 함..)
-
192.168.10.0 ~ 192.168.10.255
netip(0) broadcast(255) 는 사용 못함
-
127.0.0.0은 다 내부 IP (0과 255는 제외) - 루프백 네트워크(내부에서만 돌아가는 것), 자가 점검용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KT,SK,LG..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
- 사설은 공인 ip를 통해서 나감 ( A-a/ B-a AB공인 a 사설)
IPv4 클래스 체계 O
32bit 0.0.0.0 ~255.255.255.255 ->2^32 = 약 43억 0~255=256개 2^8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255.255.255.255
IPv6 클래스 체계 X
128bit 2^128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 0000
ffff : ffff : ffff : ffff : ffff : ffff : ffff : ffff
- 컴퓨터 통신에는 IP가 필수
- IP에는 IPv4와 IPv6 주로 사용
- IPv4: 32bit , IPv6: 128bit
- IP- 1. 공인IP: 인터넷을 자체적으로 사용/ 2. 사설IP: ISP를 통해서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음
- IP는 국가적으로 분리해서 관리
클래스
- 해저 케이블 메시 형태 - >가용성을 지님 (공인 IP)
- RFC (예외 처리 기술) 등록
- C 클래스를 주로 사용
- [대역][사설IP,고정IP] [네트워크 규모][cidr표기법 prefix]
- A 0~127.0.0.0 10.0.0.0 대규모(국가 규모) /8
- netmask(NM) 255.0.0.0 ( 1111 1111.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128개
- B 128~191.x.0.0 172.16.0.0 중소 규모 ( 공기관,기업 ) /16
172.31.255.255
- netmask(NM) 255.255.0.0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 0000 0000 ) 64개
- C 192~223.x.x.0 192.168.x.0 일반 규모 (통신사) /24
- netmask(NM) 255.255.255.0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 32개
- D 라우터 네트워크 장비 ( 224 ~ 239 ) 16개
- 네트워크의 특징: 연속 ex) 1100 0000 (O) 1010 0000 (X)
- GW (gateway) 관문, 통로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기 위한 통로 ( router IP)
다른 네트워크를 가려면 반드시 GW가 존재해야 함
통상적인 GW는 주로 가장 끝에 주소만 바뀜( 무조건은 아님 )
-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GW
1 공유기 (통신사)
2 VMware (가상화)
3~253 호스트가 마음대로 구성가능
254 다중 네트워크 구성시 사용 →멀티로 많이 사용
PORT
- PORT : 서비스를 정의하는 전용 통신 회선
- 4계층 TCP,UDP PORT
IP : PORT
192.168.10.10 : 80
- 2^16 = 65536 개 0~65535 (UDP/TCP 따로)
- 종류
- #잘알려진 포트 Well known service port
- 0 ~ 1023 => 자주 쓰이는 서비스로 예약된 주소
- #registered port
- 1024~49151 => 응용프로그램의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할당된 주소
- #dynamic port
- 49152 ~ 65535 => 사용자 마음대로 사용되고 동적으로 지정되는 주소
- [주요포트]
- 일반서비스
22/tcp ssh (보안원격접속)
23/tcp telnet
80/tcp http 웹서버
443/tcp https 보안웹서버
21/tcp FTP 파일송수신서버 (DATA포트 active=20/tcp passive =1024~랜덤)
139/tcp NETBIOS 삼바포트
- 메일관련
25/tcp smtp (메일서버 송신)
110/tcp pop3 (메일수신) 중계서버에서 전송완료시 메일 삭제
143/tcp imap (메일수신) 중계서버에서 전송완료시 메일 저장
- [udp]
53/udp dns(nslookup 도메인 정보 검색) ***
67/udp DHCP
69/udp TFTP
161/udp snmp (agent)
162/udp snmp (manager)
ROUTER
- router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비
- routing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과정
- 전원 0: 꺼짐 1: 켜짐
- gateway :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통로
- 2621xm
- 특징
- 여러 개의 네트워크 IP 설정이 가능하다.
- 단 네트워크 당 1개씩만 가능
- 주의
- router의 IP 와 PC의 IP가 중복될 경우 ⇒ 충돌하여 PC의 IP가 삭제
- N⇒ 큰 부품
- W⇒ 작은 부품
- 라우터의 장비 모드: 유저모드 ( > ) => 관리자모드 (#) => 설정모드 (config)
- 라우터 장비 설정 : 최초에는 no 또는 ctrl+c 로 진행
- 기타 명령어
- more에서 뒤로가기: q
- 상위모드: exit
- 강제 종료: crtl+shift+6
- 도움말: ?
- 자동완성: 단어 2글자 +tab
- 중복되는 명령어가 없을 시 실행: 단어 2글자+ enter
- cisco 장비는 자동 단어축약이가능 ?로 확인 *
tab 을 통해서 단어 자동완성형 기능 가능
중복되는 명령이 없을경우 2~3글자로만 써도 실행가능
- 주요명령 : show ip int bri ( show ip interface brief)
- crtl+shift+6 -> cli 중단
- 관리자 모드 : router# [privileged mod] enable - 최초에는 end, ctrl+c
- OS 동작 명령 지원 ( reload: 재부팅 copy run: 설정 저장 등등 )
- ping 보낼 때는 관리자 모드에서.. ⇒ !!!!나오면 정상 작동 되는 것
- show ip int bri ( ip 및 on/off 확인하기)
- router> enable (관리자 모드 진입)
- router# reload ( 재부팅 )
- router# config terminal [ conf t ] 글로벌 설정 모드로 진입
- do show run -> 기존 명령 다보기
- router(config)# [ global configuration mode ] 실제 장비 네트워크 설정
- do [명령어] 일시적으로 관리자 모드 사용 가능
정리
- router의 특징
-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
- 여러 네트워크 주소 소지가 가능하다
- 서로 다른 네트워크 IP를 1개씩만 사용가능
- router IP는 gateway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