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et

:)·2024년 4월 15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2/20

정의

  • 서브넷 = 서브네트워크 : 대규모 네트워크 내의 작은 네트워크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network-layer/what-is-a-subnet/

  • 네트워크 주소는 반드시 짝수(시작) , 브로드 캐스트 주소는 홀수(끝) → 최초 netip 와 broadcast는 사용할 수 없음
  • 서브넷은 2진수만 가능 ( 50개 필요 →64개 사용)
  • 최초 쓸 수 있는 IP는 무조건 홀수
  • 마지막 IP주소는 무조건 짝수

사용이유

  • IP 주소를 장치 범위 내에서 사용하도록 좁혀줌 -> 탐색 시간 단축
  • IP 주소의 역할은 네트워크 및 장치 주소를 나타내는 것 -> 서브넷으로 사용 x
  •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하위 네트워크로 정렬

서브네팅: 네트워크를 나누는 기술

Subnet Mask

  • IP 주소와 비슷하지만, 네트워크 내에서 내부적으로만 사용

  • 라우터는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위치로 라우팅

  • 예시

    221.25.18.0/24 의 네트워크에서 호스트가 20개가 필요하다고 한다 첫번째 네트워크는?
    256/32 = 8(서브넷수)
    1110 0000

    network : 221.25.18.0

    subnetmask : 255.255.255.224
    subnetmask(bit) :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1110 0000
    broadcast : 221.25.18.31
    host개수(netip+broadcastip포함) : 32개
    사용가능한 host개수 : 30개
    할당가능한주소 : 221.25.18.1 ~ 30


  • 예제
서브넷수: 256/호스트수
192.168.10.0/24
네트워크가 11개 필요. 첫번째 네트워크
서브넷수: 
호스트수:
넷마스크비트:
넷마스크: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사용가능호스트수:
사용가능범위:



- 답
    
    192.168.10.0/24
    
    네트워크가 11개 필요. 첫번째 네트워크
    
    1111 0000
    서브넷수		  : 16
    호스트수		  : 16
    넷마스크비트	  :  255.255.255.1111 0000
    넷마스크		  : 255.255.255.240
    네트워크	  	  : 192.168.10.0
    브로드캐스트	  :  192.168.10.15
    사용가능호스트수 : 14
    사용가능범위	   :  192.168.10.1~14
  

  • Cisco를 사용한 실습

  • Cisco를 사용한 실습2

  • com ip -> 사용가능한 대역의 제일 첫번째

  • router gw -> 사용가능한 대역의 제일 마지막

VLSM(Variable Length Subnet Mask)

  • 가변 길이 Subnet Mask

  • 하나의 네트워크 영역을 서로 다른 크기로 Subnetting 하는 기법

  • 한번 나눈 것을 또 나눌 수 없음 (큰 것부터 나누어야 함)

  • IP를 효율적으로 사용

    • 필요한 호스트(2진수)에 따른 서브넷
      • 1024: 255.255.252.0
      • 512: 255.255.254.0
      • 256: 255.255.255.0
      • 128: 255.255.255.128
      • 64: 255.255.255.192
      • 32: 255.255.255.224
      • 16: 255.255.255.240
      • 8: 255.255.255.248
      • 4: 255.255.255.252

    • A팀 100 128 0~127
      B팀 50 64 128~191
      C팀 10 16 192~207
  • Cisco를 사용한 예제

    1000 개 1111 1100 . 0000 0000 255.255.252.0 172.16.0.0 ~172.16.3.255
    500 개 1111 1110 . 0000 0000 255.255.254.0 172.16.4.0 ~ 172.16.5.255
    200 개 1111 1111 . 0000 0000 255.255.255.0 172.16.6.0 ~ 172.16.6.255
    120 개 1111 1111 . 1000 0000 255.255.255.128 172.16.7.0 ~ 172.16.7.127
    64 개 1111 1111 . 1000 0000 255.255.255.128 172.16.7.128 ~ 172.16.7.255
    16 개 1111 1111 . 1110 0000 255.255.255.224 172.16.8.0 ~ 172.16.8.31
    2 개 1111 1111 . 1111 1100 255.255.255.252 172.16.8.32 ~ 35
    2 개 1111 1111 . 1111 1100 255.255.255.252 172.16.8.36 ~ 39

    VLSM.pkt

축약

  • 축약(supernet) summary

    • 공통되는 호스트를 구해 서브넷 지정

    • 공통된 것 = 0 (255) , 다른 것 = 1

      192.168.1.0 255.255.0.0
      192.168.2.0 255.255.0.0
      192.168.3.0 255.255.0.0
      192.168.4.0 255.255.0.0
      192.168.5.0 255.255.0.0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1 . 0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10 . 0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11 . 0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0000 0100 . 0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0000 0101 . 0000 0000

      0이 아닌 것이 온 곳부터 자름
      1111 1111 . 1111 1111 . 1111 1000 . 0000 0000

      255.255.248.0

      192.168.0.0 ~ 192.168.7.255
      255.255.256-(2^3).0 => 255.255.248.0

profile
:) GITHUB: https://github.com/YJ2123412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