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g6 - VLAN

:)·2024년 5월 10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1/20

VLAN

  • 기능
    1. 망 분리 (네트워크 내부 분리) -> 연결 제한 : 1. vlan 2. 서브넷 이 같아야 함
    2. 가상 네트워크
  • switch 설정
    • vlan 생성
      config) vlan [이름 or 숫자]
    • vlan 가입 config) int fa[숫자] → host가 있는 fa
      switchport mode access
      sw ac vlan [숫자]
      do show vlan
    • vlan 합치기 (양쪽 똑같이)
      config) int fa[숫자] ← 스위치끼리의 fa
      sw mode trunk
    • 가상랜 IP 설정 ⇒ vip (virtual ip)
      int vlan 1
      ip add [ip] [subnet]
      no sh
    • 확인하는 명령
      show vlan : vlan 정보 확인)
      show interface trunk : 트렁크 정보 확인)
  • inter vlan (vlan끼리 합치기)
    • [fa0/0을 논리적으로 2개로 쪼갬)

      int fa0/0.10
      encapsulation dotq 10 (인코딩 방식) dotq 10 -> vlan 정보
      ip add 192.168.1.254 255.255.255.0
      exit
      int fa0/0.30
      encapsulation dotq 30
      ip add 10.10.10.254 255.0.0.0
      exit
      int fa0/0
      no sh

    • 삭제
      해당 no int fa0/0.30
    • 논리적인 dot으로 쪼갤 시 다 설정 후 (fa0/0.10 , fa0/0.20 ..)
      fa0/0에서 한번에 no sh

실습

vlan 실습.pkt


L2, L3 스위치

  • ESW3

packet tracer

GNS

  • routing 모드 실행: ip routing → L3 모드
  • 종료: no routing → L2 모드
  • ip 할당 : config-if) no sw 이후 가능
    • L2에서도 vlan을 통해 ip 설정 가능, 단 라우팅은 불가
    • L3에서 라우팅을 쓰기 위해서는 ip routing 사용 필수
    • L3 스위치는 ip 설정 시 no swithcport 이후 가능
      - L3 스위치에서 0/0 - 0/1 port 사용 X
      - 포트 범위 지정: int ran fa1/0 -15 → 전체 닫기: sh
  • dhcp 사용 시 switch 설정 해야할 것
    • service dhcp
    • ip routing
  • 다른 곳에서 dhcp 설정 받아오기
    • int vlan 들어가서 ip helper-address

실습

-switch0 show run

-switch1 show run

-router 0 show run

파일

L2, L3 스위치.pkt

OSPF+L3+VLAN - GNS

실습 GNS

  • gns
  • vlan 확인: show vlan -sw

-R1

  • ESW3 show run
  • ESW4

    en
    conf t
    vlan 20
    exit
    int ran fa1/0 -15
    sh
    exit
    int fa1/1
    sw mo ac
    sw ac vlan 20
    no sh
    int fa1/3
    sw tr en dot
    sw mo tr
    no sh
    end
    copy run sta

파일

OSPF+L3+VLAN.gns3

profile
:) GITHUB: https://github.com/YJ2123412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