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OLOGY, DTE와 DCE

:)·2024년 4월 19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2/20

네트워크 망 TOPOLOGY

버스(BUS) TOPOLOGY

- 장점
    - 가장 적은 양 케이블 사용
    - 비용이 적게 듬
    - 가까운 장비끼리 연결할 때 효율적
- 단점
    - 장애 발견 및 관리가 어려움
    - 하나의 장애가 네트워크에 영향을 줌

스타(star) 토폴로지

- 장점
    - 보통 LAN에서 가장 많이 사용
    - 장애 발견이 쉽다
    - 장애 시 네트워크 영향 안 줌
- 단점
    - 케이블이 많이 필요
    - hub 고장 시 network 충돌 및 가운데 장비에 영향을 많이 받음

링(ring) 토폴로지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여 링형으로 연결)

- 장점
    - 모든 장치들이 토큰을 통해 접속
    - 버스보다 조금 우수함
- 단점
    - 회선의 장애가 전체 영향을 줌
    - 장비 조금 비쌈
    - 속도가 조금 느림

메시(mesh) 토폴로지 (하나의 노드에 선이 다 연결됨)

- 장점
    - 장애에 강하고 안정적
- 단점
    - 비쌈
    - 관리 복잡
    - 규모가 크면 잘 안 씀

트리(tree) 토폴로지 (노드들끼리 연결되는 방식)

- 장점
    - 관리 용이
    - 네트워크 분류 가능
- 단점
    - 트래픽 집중 시 장애가 발생되기 쉬움

DTE와 DCE

  • DTE (Data Terminal Equipment): 데이터가 지나가는 통로
  • DCE (Data Communications Equipment) : 상대방과 통신을 위한 장비나 모뎀

  • serial: WAN 장비, 원거리 장비
  • clock rate → DCE에서만 설정 가능
    • 시리얼 링크의 초당 비트전송 속도 지정 (전송 속도)
    • 주기적으로 보내는 라우터의 신호를 일정하게 함
    • 128000 / 64000
  • bandwidth: 허용할 수 있는 최대 크기 - 전송폭 (실제 전송 속도에 영향을 끼치진 않음)
    • 1544 /128 / 64
    • bandwidth 가 높은 쪽으로 패킷이 우선 동작
    • 설정
    int se0/0
    ip add [IP]  [NETMASK]
    clock rate [128000/64000]
    bandwith   [ 128   / 64 ]
    encapsulation ppp   (실 장비에서는 필수)
    no sh 
    show interface se0/0
    show controllers se0/0       
  • MTU: 한번에 전달 가능 최대 크기
  • 상식
    • serial 프로토콜 (encapsulation)
    • HDLC와 point to point
      • HDLC => 신호 동기화 방식. 시스코 장비끼리만 연결 (시스코 장비끼리만 사용됨)
      • point to point(ppp) => 시스코 포함, 다른 장비들과 연결 보통 wan에서는 ppp를 씀, 보안 및 여러 계층 제어가 가능
      • encapsulation hdlc : 시스코 장비끼리 연결 시
      • encapsulation ppp : 시스코 포함 이외의 장비들과 연결 시

DCE 예시

profile
:) GITHUB: https://github.com/YJ2123412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