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엑트+스프링부트+mysql 조합으로 하나 해보기로 마음먹었다.리엑트과 스프링부트 따로따로 인강 들어봐서 복습하면서 연결할 생각프로젝트 계획, 시스템 아키텍처, ERD, 기능정의서, API명세서 등등을 해봐야 하겠지만 실무에서 접해본 것이 아니라 너무 어렵다 ㅠㅠ시작부
buildDev.xml : 자바빌드, war파일 생성(패키징), 라이선스 복사 -> 넥사크로+자바 완성web.xml : 웹에서 실행될 시작 메뉴판.jar : 자바에서 쓸 라이브러리 --> war 배포시 자동 로드
점표기법 : 객체.속성대괄호 표기법 : 객체"속성"점표기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어서 많이 쓰임대괄호 표기법은 속성이 동적으로 바뀌거나 문자열일때 사용기능은 같음svcAddObj = new Object();//공통 서비스 추가 파라메타 정보 ObjectsvcAddObj.s
Nexacro에서 svcUrl::과 같은 방식은 Service URL을 매핑(alias) 방식ex)var svcUrl = "svcUrl::XExportImport";//var svcUrl = "http://localhost.:8190/XExportImport"
스프링으로 되어있다. @ExceptionHandler 는 오류가 발생했을때 낚아챈다.ReloadableResourceBundleMessageSource 라는 구현체를 @bean으로 등록해 놓고 MessageSource 에서 @autowired로 bean을 주입(의존성주
화면 구현은 다른 화면들과 별반 다르지 않으므로 생략일정등록 화면에서 일정등록시 메인 페이지의 일정관리 달력이 업데이트 되는 기능공통함수로 넘기는 파라미터 :(호출할 화면,화면에서 동작시킬 함수,같이 넘길 데이터,메뉴 닫을시
네비 navigate - react-bootstrap 화면 이동(라우팅)메인페이지 useState, props, 버튼 navigate - 컴포넌트 내부에서만 쓸수있고 외부에서 못가져옴 context api - 공통관리 component - 미리 틀만들기디테일 -> 디
처음에는 프로젝트가 조그맣고 귀여웠는데 점점 기능이 덕지덕지 붙으면서 무겁고 안귀여워짐.... 사실 회원가입이야 로그인이랑 별반 다를바가 없어서 로그인만 정리함. 리덕스에 관리할게 많아지다 보니 slice들을 분리하기로함 store 폴더안에 authSlice.js/
memo외부에서 정의한 컴퍼넌트 사용 및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부모 컴퍼넌트가 리렌더링 되도 자식 컴퍼넌트가 리렌더링 되지 않게 할수 있음 즉 최적화 가능\+1 버튼을 눌렀을때 memo가 없다면 console.log('memo 쓰니 재랜더링 안돼지? memo가 없었으면
비동기 사용(react-query)수정 감지해서 실시간 데이터 업데이트비동기 랜더링시 로딩화면(Suspense)비동기 화면에서 로딩중에 어떻게 보여줄지 만듬QueryClientProvider 요론걸 쓰겠다고 메인에 설정 먼저 하기useQuery를 이용해서 가져온 데이터
Redux로 상태값을 관리할거고 Detail에 있는 상품에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Cart 화면에 가져와서 뿌려주는 기능그런데 URL 변경시 새로고침이 되면서 state가 날라가는 이슈가 있었다. 그래서 redux-persist 기능으로 선택값을 Local Storag
네비는 맨위에 위치하고 각 화면으로 이동시킴디자인은 react-bootstrap이동은 라우팅으로 구현App.jsx를 보면 임포트는 여러군데에서 했지만 코드는 이게 끝임 컴퍼넌트화를 통해 각 화면은 각 화면에서 구현하게 함
├── public/ │ └── assets/ ├── dist/ ├── node_modules/ ├── src/ │ ├── components/ │ ├── styles/
검색해서 받으면 됨React.js : 프론트 UI 개발node.js : db, 서버 연결폴더 마우스 우클릭 후 powershell 연다음에 npm create vite@latest 여기서 실행하면 됨 내가 오픈한 폴더에 따라 터미널 경로가 고정되기 때문에 너무 바깥쪽
백개발자라 깊이 팔건 아니지만 혹시 나중에 만질일이 있을지도 모르고 기본은 알아야 같이 작업할수 있을거라 생각해서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재밌었다.우선 작업한 결과물이 바로바로 나오는게 신기했고 VSCode라는 툴의 UI가 예뻐서 좋았다.현재 애플코딩 강의 완독이 완료됬고
깃허브에 배포브라우저는 HTML CSS JS 이 세개의 언어만 해석가능 그러므로 빌드해서 요 언어로 바꾼 다음에 배포해야함cmd창에 npm run build 우측상단 new repository 에 들어간 후 Repository name에 깃허브아이디.github.io
ERP에서 값을 저장할 때, 데이터를 등록할 때마다 관리번호를 채번. 예를 들어, "20250227-0001"과 같은 형식으로 관리번호를 생성해야 함화면에서 프로그램ID와 기준일을 파라미터로 넘기면서 공통함수(this.gfn_GetTbnmNo) 호출\-> 정의된 공통
최신 스프링 특징1\. 객체생성을 @Autowired를 통해 자동 관리(의존성 주입)2\. ResponseEntity 사용으로 JSON 응답3\. @RequestBody 사용하여 JSON 데이터 자동 변환하지만 회사에서 스프링을 안쓰고 JSP/서블릿 타입의 레거시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