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 인터넷을 구성하는 통신장치 간 정보 교환 규칙
- 통신장치 = 하나 또는 여러개의 프로토콜을 구현한 시스템
프로토콜은 세가지를 정의해야한다.
- 통신장치 간에 교환할 메시지 형식 (Systax)
- 메시지 교환 순서(Timing)
- 메시지를 교환할 때 수행해야하는 행위(Semantics)
프로토콜 구조
- 프로토콜 구조는 계층 구조이다
- 계층 = 유사한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의 집합
- 역할을 분리하여 프로토콜 계층을 구분
- 프로토콜 계층마다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르다.
장점
- 새로운 프로토콜 정의 용이
- 특정 기능 수정 용이
- 전체 시스템 이해 용이
단점
계층 구조 모델
OSI 7계층 구조
- ISO에서 정의
- 7 계층
- 실제로 사용X
- 참고모델로 사용
TCP/IP 계층 구조
- 인터넷 프로토콜 구조
- OSI 7계층에서 Presentation, Session Layer의 서비스를 Application Layer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5 계층으로 구성
어플리케이션 계층 : 사용자 메시지 정의
- 인터넷 최종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정보(메시지) 교환 규칙 정의
- 사용자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로 다른 응용 프로토콜 정의
- HTTP(웹), SMTP(메일), FTP(파일), DNS(도메인)
트랜스포트 계층 : 패킷 분할, 오류 복구
- 응용 계층 프로토콜 메세지를 작은 전송단위로 나누고 전송하는 규칙
- 응용 프로토콜 지정(end-point, port 번호),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혼잡 제어
- TCP,UDP
네트워크 계층 : 패킷 교환
- 네트워크 상에서 최적경로를 찾고
- 출발지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전송 단위인 세그먼트를 네트워크 전달단위인 데이터그램으로 변환하고,
- 목적지 트랜스포트 프로토콜까지 데이터그램을 교환하고 전달
- IP, Routing Protocol
링크 계층 : 패킷 전송
- 네트워크 경로를 구성하는 각 링크 상에서
- 네트워크 전송단위인 데이터그램을 프레임으로 변환하고
- 링크의 끝까지 전송하는 규칙 정의
- 링크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링크 프로토콜 존재
- 유선 LAN: 이더넷, 무선 LAN: Wifi, 전용회선 PPP
물리 계층: 물리 매체
- 디지털 비트와 물리적인 신호의 변환과 물리 매체 접속 규격 정의
- 물리매체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 정의
- 이더넷 링크를 위해 UDP, 광케이블 물리 프로토콜 정의
캡슐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하위 계층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 감싸진다.
프로토콜을 크게 보면 데이터 정보, 제어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 데이터 정보: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 제어 정보: 프로토콜 규칙을 수행하기 위해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