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용어

dragonappear·2023년 5월 22일
0

Network 101

목록 보기
1/10


주요 용어

  • 인터넷: 네트워크(서브넷)을 상호연결한 네트워크
  • 네트워크: 다양한 유형의 호스트와 스위치들을 통신링크로 연결한 분산 시스템
  • 호스트: 인터넷의 끝에 연결된 통신장치(종단장치) ex) PC, 스마트폰, IoT 센서등
  • 통신링크: 통신장치 간에 정보전달단위인 패킷을 전달하는 유무선 매체 ex) 구리선,광케이블,Wifi채널,모바일 통신 채널, 위성 채널 등
    • 링크 전송속도: 초당 전송가능한 비트수(bps: bit per second)
    • 링크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 스위치
    • 다수의 통신장치를 통신링크로 연결하는 장치 -> 네트워크 연결 역할
    • 입력링크로 수신된 패킷을 출력링크로 전달하는 장치 -> 패킷 교환 역할
      • L2 스위치: 일반적으로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스위치
      • 라우터: 일반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스위치
  • Access Network: 호스트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Core Network: Acess Network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ISP: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과 조직이 운영하는 네트워크
    • Access ISP(Residential, Corporate, University), Upper-tier ISP(Regional, Tier-1)로 나눈다

Access Network

  • 네트워크 엣지(인터넷에서 호스트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이다.
  • Home, Enterprise, Mobile로 구분된다.

Home Access Network

  • DSL(Digital Subscriber Line), Cable, FTTH, Ethernet/Wifi 등 여러가지 방식으로 홈 엑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Enterprise

  • 주로 Ethernet/Wifi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Home Access Network보다 규모가 크다.

물리 매체

  • 정보를 표한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매개체
  • 통신 장치의 물리적 연결 매개체
  • 유형
    • 유도 매체: TP(Twisted Pari 구리선 두가닥을 꼬아서 만든것,LAN에 사용됨),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등등
    • 비유도 매체: Wifi, 위성, 무선 채널

Core Network

  • 엑세스 네트워크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ISP들이 운영하는 광역 네트워크
  • 구성: 라우터들을 고속의 링크로 연결
  • 종단 간 경로: N개의 링크와 N-1 개의 라우터로 연결

패킷

  • 전송 장치 간에 전달되는 정보 단위
  • 공유 링크의 공정한 전송을 위해 작은 패킷 단위로 나누어저 전송한다.

패킷 스위치

  • 입력링크와 출력링크 간에 패킷 단위 교환
  • L2 스위치와 라우터가 있다.

패킷 전송지연 시간

  • 전송장치가 패킷을 링크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 패킷크기가 L비트, 링크전송속도: Rbps 일때, 패킷 전송지연 시간은 L/R seconds이다.

Store-and-Forward

  • 라우터는 수신패킷을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
    - 버퍼 메모리 = 라우터의 입력링크에 연결된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있는 큐 버퍼 메모리
  • 패킷을 완전히 수신 후 패킷을 전송하기 시작한다.
  • 출발지와 각 라우터에서 전송지연시간이 발생한다

호스트 간 패킷 전송지연 시간(D end-to end)

  • 패킷크기가 L비트, 링크전송속도: Rbps, 라우터 개수: N
  • D = N * (L/R) 인데, 전달 지연시간은 고려되지 않았다.

라우팅 테이블

  • 입력패킷에 대한 교환규칙을 정의하는 자료구조
  • 패킷교환 테이블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토콜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