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ort Layer - Outline, Socket, CheckSum

dragonappear·2023년 7월 12일
0

Network 101

목록 보기
7/10


네트워크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

✔️ 호스트 간 통신

  • 인터넷 호스트 간 패킷(datagram) 전달
    • 호스트의 인터넷 통신 장치(Networki Interface Card)

✔️ Best effort 서비스

  • 자원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최선의 통신 서비스 제공
  • 자원이 부족한 경우 (Unreliable service)
    • 지연 시간 발생
    • 패킷 훼손/손실 발생 가능

✔️ 비연결형 서비스

  • 패킷 전달 경로가 다를 수 있음
  • 패킷 도착 순서가 바뀔 수 있음

IP(Internet protocol)

  • IP 주소 기반의 패킷 전달
  •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NIC(호스트) 구분

트랜스포트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세스 간 통신

✔️ 세그먼테이션/리어셈블리

  • 응용 프로세스가 전송 요구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계층이 교환 가능한 크기의 단위(세그먼트)로 나누어 네트워크 계층에 전달

  •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수신되는 세그먼트들을 메시지로 재조립하여 응용 프로세스에 전달

✔️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멀티 플렉싱

여러 응용 프로세스가 전송 요구하는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구분 가능한 정보를 추가하여, 하나의 링크에 전송하는 것이다

디멀티플렉싱

멀티플렉싱된 메시지를 수신 측에서 올바른 프로세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 무결성 확인

  • 수신 세그먼트 비트의 손상 여부 화인
  • Checksum 기술 적용

✔️ 신뢰 전송

  • 오류 복구: 손상 또는 손실 세그먼트 복구
  • 흐름 제어: 수신 버퍼 오버플로우 방지

✔️ 혼잡 제어

전송량 조절을 통해 네트워크 혼잡 상황 회피 및 해소


소켓

✔️ 소켓

  • 트랜스포트 계층이 제공하는 응용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자료구조

✔️ 연결형 소켓

  • 통신 소켓 간에 1:1 연결 설정
  • 소켓 식별 = 출발지 IP 주소,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IP 주소, 목적지 포트 번호
  • 1:1 통신

✔️ 비연결형 소켓

  • 통신 소켓 간에 1:1 연결 미설정
  • 소켓 식별 = 목적지 IP 주소 + 목적지 포트 번호
  • 1:N 통신 가능

CheckSum

✔️ 목적

무결성 확인

✔️ 특징

송신자

    1. 송신하는 메시지(데이터그램)을 정해진 길이(16bits) 길이의 데이터 단위로 나눔
    1. 모든 데이터 단위를 1의 보수 연산으로 더하여 합을 구함
    1. 합의 1의 보수를 Checksum으로 생성하고, Checksum을 메시지(데이터그램)에 추가하여 전송

수신자

    1. 수신한 메시지(데이터그램)을 정해진 길이(16bits) 길이의 데이터 단위로 나눔
    1. 모든 데이터 단위를 1의 보수 연산으로 더하여 합을 구함
    1. 합이 0이면 성공적인 수신, 아니면 오류 검출

✔️ 장점

  • 오류 검출율 높음
  • 사용하기에 단순함

✔️ 단점

  • 각 데이터단위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합이 0이 되는 오류 검출 불가
  • CheckSum을 변경하지 않는 오류 검출 불가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