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양한 DBMS를 동시에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NET 환경에서 Entity Framework (EF)를 사용하여 MSSQL과 Oracle을 동시에 다루는 프로젝트에서는 트랜잭션 관리가 핵심 이슈가 됩니다.
본 글에서는 단일 DB 트랜잭션과 분산 트랜잭션의 차이점, EF Core의 트랜잭션 기본 기능, 그리고 두 DB에 걸친 분산 트랜잭션 구현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겠습니다.
EF Core는 기본적으로 SaveChanges()
호출 시 내부 트랜잭션을 사용합니다. 단일 DB 환경에서는 이 기본 기능으로 충분하지만, 아래와 같은 점들을 주의해야 합니다.
Oracle과 MSSQL은 날짜, 숫자, 문자열 등 기본 데이터 타입 및 SQL 문법이 다르므로, 쿼리 번역이나 데이터 매핑 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DBMS별로 발생하는 예외가 다를 수 있으므로, 트랜잭션 롤백 및 예외 처리 로직을 꼼꼼히 구성해야 합니다.
두 DB(MSSQL과 Oracle)에 걸쳐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작업해야 하는 경우, 분산 트랜잭션을 도입해야 합니다.
분산 트랜잭션은 MSDTC를 기반으로 관리됩니다. MSDTC가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트랜잭션이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환경 설정에 유의해야 합니다.
분산 트랜잭션은 네트워크 및 시스템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 가능한 경우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거나 eventual consistency 패턴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NET에서는 TransactionScope
를 활용하여 여러 DbContext
인스턴스가 하나의 트랜잭션 범위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MSSQL과 Oracle 각각의 DbContext
를 사용해 하나의 분산 트랜잭션을 구현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ransactions;
public void ProcessDataAcrossDatabases(string mssqlConnectionString, string oracleConnectionString)
{
// TransactionScopeOption.Required: 트랜잭션이 존재하면 참여, 없으면 새로 생성
var transactionOptions = new TransactionOptions
{
IsolationLevel = IsolationLevel.ReadCommitted,
Timeout = TransactionManager.DefaultTimeout
};
using (var scope = new TransactionScope(TransactionScopeOption.Required, transactionOptions))
{
// MSSQL 작업
using (var mssqlContext = new MssqlDbContext(mssqlConnectionString))
{
mssqlContext.SomeTable.Add(new SomeEntity { Name = "MSSQL Data" });
mssqlContext.SaveChanges();
}
// Oracle 작업
using (var oracleContext = new OracleDbContext(oracleConnectionString))
{
oracleContext.SomeTable.Add(new SomeEntity { Name = "Oracle Data" });
oracleContext.SaveChanges();
}
// 모든 작업이 성공하면 트랜잭션 완료
scope.Complete();
}
}
MssqlDbContext
와 OracleDbContext
는 각각 MSSQL과 Oracle에 맞게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두 DBMS(MSSQL과 Oracle)를 동시에 지원하는 EF Core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음 사항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EF Core의 기본 기능을 활용하되, DBMS별 데이터 타입 및 SQL 문법 차이로 인한 이슈를 주의 깊게 관리합니다.
DbContext
인스턴스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구현충분한 테스트와 예외 처리를 통해 안정적인 트랜잭션 관리 전략을 수립한다면, 두 DB를 동시에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문제 없이 운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적인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