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 베이스에는 아래처럼 생긴 규칙 탭이 있다.여기에서 DB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아래의 사진은 잠금모드 상태로 데이터 읽기 쓰기가 모두 안되는 상태이다.이 외에도 다양한 규칙 생성이 가능하다.잠금모드 - 모든 읽기 쓰기를 허용하지 않음허용모드 모두에게 읽기
Next.js 공식 홈페이지 - 관련 설명해결 : No router instance found. you should only use "next/router" inside the client side of your app.Uncaught (in promise) Error
사파리로 접속하자 글로벌 폰트가 적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위의 GNB 는 따로 font-family 를 지정해줬었고,아래의 명조체로 깨지는 부분은 따로 font-family 를 지정하지 않았었다.넥스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최상단의 \_app.t
테스트한 내용을 지우지 않고, 커밋을 올려버렸다.이 기회에 다시 덮어쓰기 위한 방법을 간단 정리해보려고 한다.주의git reset 은 로컬 혹은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않는 브랜치에서만 사용할 것!쫙 다 보고싶을 때!한줄로 간결하게 보고싶을 때!reset --soft 하
좋아요를 처음 눌렀을 때는 정상 작동 하다가, 두번째 누르면 카운팅 오류가 발생했다.위 처럼 내가 안 누른 상태의 좋아요 0 에서 시작해,한번 눌렀을 때는 1이 되는데,두번 눌렀을 때는 0 으로 다시 돌아가지 않고, 서버의 값이 -1 이 되는 것이었다.한마디로, ui
위와 같은 코드로 검색단어를 가진 url path 로 라우팅 연결을 했었는데,처음에는 원하는대로 ~/post-list/search?term=테 로 나오다가한번 더 검색을 입력하면 post-list 가 중복되면서 아래와 같이 나오는 에러가 있었다.알고보니 path 를 제
기존에 캐싱된 데이터를 가져오려고 했는데, 계속 undefined 가 발생했다.해당 데이터는 포스트 리스트 데이터였다.알고보니 키값을 잘못 입력하고 불러와서 생긴 문제였다.포스트 리스트 데이터는 url path 의 쿼리값에 따라 정렬 및 필터링 되는 데이터였다.그래서
Lookup Table 이란 말 그대로 값을 저장해둔 테이블이다.객체안에 key : value 값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저장된 값을 참고해서 꺼내오는 개념이다.장점1\. 연산이 필요하지 않아서 속도가 빠르다.2\. 반복해서 참조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사용성이 좋다.
저번주에는 불안했는데, 그래도 탄탄한 기획과 문서정리가 이번주에 빛을 발한다.우리는 포스트 데이터 항목이 많아서 좀 복잡한데,데이터 모델링과 API 명세를 꼼꼼히 짜둔 덕분에 테스트할 때 고민없이 참고할 수 있어서 좋다.또, 중간 중간 헷갈리는 것이 생길 때, 우리가
몰랐던 useEffect의 실행순서 (feat Suspense)
CREATE addDoc - 데이터 새로추가 READ onSnapshot - 실시간 업데이트 되는 데이터 읽어옴getDoc - 데이터 한 번 가져옴 UPDATE setDoc - 데이터 덮어쓰기 DELETE setDoc - 데이터 덮어쓰기addDoc( 참조위치 , 넣을
크게 보았을 때 수직 슬라이드 내에 수평 슬라이드가 있는 구조 페이지를 작업중이었다.객체가 여러개 겹쳐있고, 내부에 모션도 들어가는 등 다양한 속성이 혼재돼어있는 구조였다.특히 css 를 작업할 때 각각의 구조를 묶어서 생각하기 어려웠는데,작업 되돌리기를 하다가 수직
로컬의 브랜치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1\. 먼저 이름을 바꾸려고 하는 브랜치로 이동한다.\-m 명령어로 이름을 변경한다.git branch 로 잘 변경됐는지 확인한다.
Top - Middle - Bottom 위와 같이 이슈 구조를 짰다.해당 구조에서 생긴 궁금증들을 정리해보자.그리고 효율적인 방법인지도 고민해보자.(결론적으로 각 이슈는 종속관계가 아니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Top상위 이슈 Q. 상위 이슈
우리 너무 느린걸까? 다른 조들이 하루 이틀만에 기획을 다 잡고 기본기능 개발에 들어갔는데, 우리조는 프로젝트 기획과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고, 그에 맞게 기능을 수정하느라 시간이 몇일 더 걸렸다. 이후에도 데이터모델링과 API 명세 작성, 테스크 분배와 깃헙 이슈 및 칸반보드 정리, 브랜치 / 커밋 / 이슈 / PR / 코드에 대한 디테일한 컨벤션 정리 등...
git stash는 변경사항을 임시저장하는 git 기능입니다.작업을 하다가 잠시 다른 브랜치에서 작업할 일이 생기거나 급하게 브랜치를 이동해야 할 때, 커밋을 날리지 않으면, 이동 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의미없이 커밋을 날려 놓으면, 유의미하지 않은 커밋이 남아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