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느때와 같이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문득 AWS에 대한 의문이 생겼다. 한달에 작게는 1만원 많게는 10만원이 넘는 금액이 당연한가? 처음 클라우드 PC에 대한 흥미를 느낀 뒤 GCP의 3개월 프리티어, Oracle 평생 무료 클라우드, AWS 프리티어등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버에 대해 흥미를 느꼈었고 (왜 흥미를 느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터미널을 띄워놓은 그 모습을 동경 했었던것 같다) 개인적으로 AWS의 1년 무료와 사용자 편의성이 가장 마음에 들어 정착하게 되었다.
왜 AWS인가를 조금 더 써보자면 지금은 다를 수 있지만 당시 방화벽설정등을 웹 콘솔에서 적용 후 리눅스에서 다시 한번 ufw를 설정해주어야 한다던지, 클라우드 서버의 안정성 등을 이유로 들 수 있을것 같다.
실제로 오라클 평생 무료 서버는(arm 버전 서버) 성능면에서 모든 부분을 충족시켜주었지만 이유를 알 수 없는 서버 다운현상과 유동IP의 불편함, 불편한 웹 콘솔 등으로 인해 손이 자주 가지 않게 되더라.
그로부터 1년마다 구글 계정을 새로 만들어 aws의 프리티어 유목민 생활을 시작했었고 현재는 5년째 새로운 계정과 함께 클라우드PC에 어느정도 적응해있는 상태다. 하지만 5년사이 젠킨스, 취미 또는 테스트용, 개발용 등등 필요한 서버는 늘어나게 되었고 AWS에도 매달 10만원이 넘는 금액을 내고있는 상태다.
1년에 150만원이 넘는 금액, 그리고 서버를 늘릴때마다 점점 늘어나는 금액을 보고있자니 어느날 홈서버를 구축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침 매달 내고있던 아이클라우드비용이 오른다는 얘기를 들었다. 따라서 내가 홈서버에 원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았다.
아이클라우드와 같이 클라우드 웹하드의 기능이 가능할 것
AWS를 대체할 수 있는 편의성과 성능이 보장될 것
구축 가능 비용은 30만원 이하일 것
전기세 걱정없이 사용가능한 저전력 PC일 것
다행히 리눅스는 익숙했기에 삽질을 통해서라도 위사양에 만족하는 결과를 뽑을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해외 직구가 발전하며 이전엔 불가능했던 스펙의 pc가 매우 저렴하게 유통되고 있다.
대체로 Aliexpress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내가 선택한 PC는 다음과 같다.
우선 N100 CPU와 16GB의 램을 탑재한 미니PC는 앞의 모든 조건을 만족한다.
간단히 롤정도는 돌아가는 스펙이기에 서버로 쓰기에 차고 넘치는 스펙이다.(나의 경우는 그렇다)
또한 NAS로서의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추가로 2TBSSD를 구매하였다. 이부분에서 예산이 37만원정도로 높아지긴 했지만 기존 서버비를 생각하면 오차범위 이내라 구매를 진행했다.
게다가 전력이 무려 풀로드시 36W이다!!
IDLE시 전력은 10W수준으로 거의 휴대폰 충전과 비슷한 수준이다 >> 한달 내내 사용해도 전기세 걱정할 필요가 없다.
소프트웨어를 고르는 부분이 어려웠는데 Proxmox와 같은 하이퍼바이저 운영체제를 선택하기 전에는 XPEnology와 같은 시놀로지류 OS를 설치해서 Docker를 활용할 생각이었지만 Proxmox를 발견하고 바로 적용을 결심하게 되었다.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 가상머신과 컨테이너를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이다.
단일 서버로 사용이 가능하고 클러스터링 시 최대 32 node까지 클러스터링이 가능하다.
proxmox의 특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실제 proxmox의 웹기반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aws의 관리 콘솔과 유사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부분이 바로 선택에 큰 이유이다.
이렇게 Proxmox위에 개발용 리눅스, 개인용 윈도우, nas대용 XPEnology 컨테이너를 올리게 되면 나만의 완벽한 홈서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Proxmox 기반의 홈서버 구축 계획을 수립하였다. 개발용 리눅스 환경, 개인용 윈도우 시스템, 그리고 NAS 기능을 위한 XPEnology 컨테이너 등을 통합 구성할 예정이다.
이 접근 방식은 AWS의 부재를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새로운 기술 스택을 다루는 만큼 예상치 못한 문제들도 발생할 수 있겠지만, 이는 기술적 역량을 향상시킬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향후 이 홈서버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을 거칠 계획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유연하고 비용 효율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 구축 과정과 직면한 기술적 문제들, 그리고 그 해결 방안에 대해 상세히 다룰 예정이다. 이 경험이 유사한 프로젝트를 계획 중인 다른 개발자들에게도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제 본격적인 구현 단계로 넘어간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얻게 될 기술적 성과와 개선점들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