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Proxmox이미지를 usb에 담아야 한다.
Proxmox Download Link
위 링크에서 이미지를 받은 뒤, 윈도우 사용자의 경우 rufus 를, Mac이나 Ubuntu 사용자는 balena를 사용하여 Proxmox 이미지로 부팅 디스크를 만든다.
여기서 나의 경우는 GPU가 따로 없는 인텔 내장 GPU를 사용하는 제품이며 내가 하는 작업은 대부분 터미널 또는 웹브라우저와 같이 텍스트 기반의 작업이 대부분이기에 상관없으나, 윈도우 또는 리눅스 컨테이너에서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필요한 경우 최신버전인 8.2의 커널에서 passthrough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이슈가 있으므로 지원가능한 하위 버전을 설치하는걸 추천한다.
USB 이미지를 만든 후 홈서버로 사용될 미니pc에 연결해 부팅을 시켜보면
위와 같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6번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크게 무리 없이 진행 가능하지만, 네트워크 구성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원래는 홈서버의 위치를 데스크탑 테이블 위에 놓고 사용하려 했지만 이렇게 될 경우 무선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려면 보안과 안정성 측면은 제쳐놓고서라도 복잡한 아래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 OpenWRT VM을 만들어서 RTL8125B를 VM으로 Passthrough하고, 네트워크 브릿지를 만들어서 VM에 연결하면 브릿지가 VM과 통신하게 된다.
- Proxmox자체에 무선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작업.
두 방법 모두 실제로 구현해보고 테스트 해 본 결과 결코 추천하지 않는다.
(우선 네트워크단의 관리가 복잡해지고 특히 1번 작업의 경우 커널을 건드리는 작업이 진행되는데 최악의 경우 모든 구축이 끝난 후 네트워크 문제 또는 커널 에러로 접속 자체가 불가능해져 재설치를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원래의 계획을 수정해 공유기 옆에 LAN선으로 곱게 연결해놓았다.
(설치가 완료된 모습)
이제 https://[Proxmox VE IP 주소]:8006 으로 접속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홈 서버의 사용 목적은 AWS의 대체품이었으며 집에서만 작업 가능한 반쪽짜리 홈서버는 원하지 않으므로 도메인을 추가 구매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정해주어야 한다.
도메인의 경우 다양한 구매사이트가 존재하는데, AWS를 사용해본 경험이 한번이라도 있거나 계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AWS의 Route53을 추천한다. 이유는 사이트 한곳에서 도메인 구매, ip연결 등 모든것의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선 Route53 > 등록된 도메인 > 도메인 등록 에서 사용하고싶은 도메인을 검색하면 아래쪽에 가능한 도메인 목록과 가격이 나오게 된다(이미 사용중이라면 위 사진과 같이 비슷한 도메인을 추천해준다)
가격의 경우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사이트는 가격이 비슷해서 개인적으로는 Route53을 사용해도 비싸다는 느낌은 없다.
구매후
이처럼 등록된 도메인에 해당 도메인이 나오게 되면 90%는 끝이다.
Route53 > 호스팅영역 > 해당 도메인 에서 위와 같이 도메인에 연결될 IP를 A레코드에 넣어주면 된다.
사실 이 과정 이전에 사용중인 공유기에서 내부IP를 외부IP의 포트로 포트포워딩해주는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공유기마다 설정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과정은 구글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여기까지의 과정을 통하면 아래와 같은 로직이 완성된다.
이상으로 Proxmox 설치 및 기본 설정 과정을 마무리했다. 이제 홈서버를 통해 다양한 VM을 운영하고, 도메인 연결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이 방식은 AWS의 대체품으로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새로운 환경을 구축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분명히 기술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향후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더 유연하고 비용 효율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VM의 구축 과정에서 겪은 문제들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해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