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같은 데이터 타입만 모아 둘 수 있는 배열과 다르게 다른 데이터 타입들도 모을 수 있는 리스트(List)가 존재한다.
리스트.append(요소)
: 리스트의 마지막에 요소 추가
리스트.pop()
: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 출력후 제거
리스트.insert(인덱스,요소)
: 인덱스 위치에 요소 삽입
del(리스트[인덱스])
: 리스트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요소 삭제
리스트.index(값)
: 값과 동일한 요소의 인덱스 출력
정렬된 리스트에 원소 삽입
def solution(L, x):
for i in range(len(L)):
if L[i] >= x: //더 큰값 발견
L.insert(i,x) //바로 앞에 삽입
return L;
else: //더 큰값이 없으면
L.append(x) //마지막에 추가
return L;
return answer
def solution(L, x):
if not x in L: //존재하지 않으면
return [-1]; // -1
else: //존재하면
return [i for i,y in enumerate(L) if y == x] //같은 값의 인덱스 추가
enumerate(iterable)
: iterable은 리스트
와 같이 순차적으로 접근가능한 자료구조를 뜻합니다.
enumerate
내장 함수는 반복문내에 몇번째 반복문인지 (인덱스, 값)
형태로 인덱스와 값을 튜플로 묶어 반환 합니다.
>>> t = [1, 5, 7, 33, 39, 52]
>>> for p in enumerate(t):
... print(p)
...
(0, 1)
(1, 5)
(2, 7)
(3, 33)
(4, 39)
(5,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