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웹페이지의 크기가 자동적으로 재조정 되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HTML소스만으로 특정 장치에 최적하된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야한다.
반응형 웹은 고 사양(고 해상도)웹이 저 사양(저 해상도) 모바일 기기에서도 불편함이 없이 구현이 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주로 레이아웃과 스타일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서 진행이 된다. 하지만, 레이아웃과 스타일 보다는 웹 컨텐츠를 모바일 퍼스트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반응형 웹도 있다.
CSS2.1 부터 미디어 타입으로 단말기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스타일을 적용 시키는게 가능해졌다.
하지만 미디어 타입만으로는 해당 기기의 특성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워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CSS3는 위 미디어 타입을 개선하여 좀 더 구체적인 조건으로 필요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는데 이를 미디어 쿼리
라고 한다.
<link>
<head>
태그 안에 위치하며 media 속성 안 조건에 만족할 때 해당 CSS파일을 불러옴
<link href="cssfile.css" media="screen and (min-width: 512px) and (max-width: 1024px)" rel="stylesheet">
<style>
<head>
태그 안에 위치하며 media 속성 안 조건에 만족할 때 스타일을 적용 시킴
<style type="text/css" media="screen and (min-width: 512px) and (max-width: 1024px)">
/* style */
</style>
<link>
<style>태그 안에서 @import를 사용하여 뒷 부분의 미디어 쿼리를 만족 할 때 해당 CSS파일을 불러옴
<style>
@import url(cssfile.css) screen and (min-width: 512px) and (max-width: 1024px)
</style>
CSS파일
불러온 CSS파일 안 혹은 <style>
태그 안에서 직접 미디어 쿼리를 작성하여 만족할 때 해당 스타일을 적용 시킴
@media screen and (min-width: 512px) and (max-width: 1024px);
only|not의 위치에는 말 그대로 only 또는 not키워드가 들어간다.
only키워드는 뒤의 조건만, not키워드는 뒤의 조건을 제외한
.title {
font-size: 40px;
}
@media (max-width: 600px) {
.title {
font-size: 20px;
}
}
https://www.nextree.co.kr/p8622/
https://www.codingfactory.net/10534
https://nykim.work/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