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io
여기로 이동하여 Jenkins를 다운로드 해주겠다.
Download
를 눌러준다.
이렇게 LTS
버전과 숫자가 적힌 버전이있는데, LTS(Long Term Stable)버전을 다운받아준다.
아래 Generic Java package (.war)
를 눌러주면 된다.
war파일이름이 주소창에 나오는데, 그냥 그대로 export하면 프로젝트이름으로 추출된다. 그 이름을 바꿔주기위해 pom.xml에서 finalname을 설정해준다.
finalname은 ${artifactId}-${version}
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나는 ${artifactId}
만 설정해주었다.
tomcat이 꺼져있는지 확인하고, webapps폴더에 다운받은 jenkins.war
파일을 드래그 복사하여 넣어준다.
tomcat의 conf
폴더에 tomcat-users.xml을 열어
등록해준다.
<tomcat-users>
태그안에 작성해주면되는데
<!-- gui로 Jenkins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rolename은 정해져있음) -->
<role rolename="manager-gui" />
<!-- Jenkins가 tomcat을 구동할 수 있다. -->
<role rolename="manager-script" />
<role rolename="manager-jmx" />
<role rolename="manager-status" />
<user username="tomcat-manager" password="1111" roles="manager-gui,manager-script,manager-jmx,manager-status" />
이렇게 설정해주었다.
role
은 권한들을 의미하고,
user
는 user정보와 권한을 지정해줄 수 있다.
tomcat\bin
경로의 startup 파일을 실행시키면
이렇게 마구마구 시작되는데, *******************************
표시같은것이 생기면 jenkins.war파일이 정상적으로 읽힌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 브라우저로가서 주소창에 localhost:9090/jenkins/
를 치면
이게 열리면 성공인것이다.
빨간색으로 밑줄쳐져있는 부분이 비밀번호 경로
이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준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제는 다시는 못볼 화면이다.)
그리고나서 뜨는 화면의 install
을 클릭하고나면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쉽게말해 회원가입 하는건데, 입력하여 회원가입하면된다.
나는 위의 tomcat-users.xml
에 설정해둔 비밀번호를 사용했다.
그리고 Save and Continue
를 누르면된다.
이 창이 나오면 Save and Finish
를 누르면 된다.
Jenkins is ready~!
자동으로 Jenkins에 로그인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또 며칠 접속안하면 세션이 만료되어 로그인이 풀린다고 한다.
Jenkins관리의 Global Tool Configuration을 누르면
이대로 설정해주면 되고,
설치를 하려면 Install automatically를 체크해주고 하면되고, 이미 JDK가 설치되어있다면 아래처럼 경로를 잡아주면 된다.
깃 경로도 설정해준다.
나는 Maven이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Add Maven
을 해주겠다.
이렇게 설정하고 Save
를 눌러주면 된다.
설치가능의 deploy
를 검색하여 Deploy to container를 다운받아준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메인페이지로 돌아가기를 선택한다
username은 git 이름을 입력해주면되고,
password는 git token을 입력해주면된다.
깃허브에 올린 레파지토리 이름을 입력한다.
Goals에는 clean package를 입력해준다.
빌드 후 톰캣(container)에 배포해달라. 라는 의미이다.
대시보드로 돌아가기를 눌러준다.
프로젝트를 눌러서 지금빌드를 눌렀을때 이렇게 성공이 나오면 성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