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기초

Young Han·2021년 4월 15일
0

기술블로그

목록 보기
2/7
post-thumbnail

git

git, git hub의 차이

git -소스 코드 기록을 관리하고 추적할 수 있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 hub -Git Repository를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이다.

즉, git으로 버전을 관리하는 파일에 대해서, git hub로 여러 개발자들이 접근을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git hub는 개발자들 간의 sns라고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git Repository

저장소, 내 파일을 저장해 두는 곳이다
즉, git으로 관리되는 폴더를 git repository라고 한다.

git Repository는 다음과 같이 두 공간의 저장소를 제공한다.

Remote Repository , Local Repository

작업할 때는 Local Repository에서 할 수 있고 내가 작업한 코드를 공유하려면 Remote Repository에 업로드해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이 Remote Repository에 올려 놓은 소스 코드를 내 Local Repository 로 가지고 올 수도 있다.

git을 활용하여 혼자 작업을 할때

전체적인 작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나 하나씩 살펴 보면

Fork

다른 계정의 Remote Repository를 내계정으로 가져올 때 사용하는 한다.

git clone

원격 Repository 내 로컬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받아 오는 명령어.
git clone <나의 레파지토리 주소>

git status

clone을 해 내 로컬로 가져와 commit을 하기 전 상태를 표시해 주는 명령어.

git restore

commit 혹은 staged 되지 않은 변경 사항을 폐기 후 처음 clone 한 상태로 되돌아 가는 명령어.
git restore<파일명>

git add

untracked files를 Staging area로 추가해서 git의 관리하에 둔다.
commit을 하기전 꼭 필요한 명령어.
git add <파일명> -파일을 하나씩 추가한다.
git add. - 파일을 한꺼번에 추가한다.

git commit

최종 수정본을 저장하는 명령어.
git commit -m '메세지'

git reset

로컬에서 최종 수정본을 commit 한 내용을 취소할 때 쓰는 명령어.
git reset HEAD^

git push

local 에서 변경되어 commit되 최종 수정본을 Remot Repository에 업로드 하는 명령어.
git push origin branch

이렇게 git을 활용하여 혼자 작업을 할때 과정을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git을 활용하여 함께 작업을 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