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개요, 자료형

dumbbelldore·2024년 11월 1일
0

zero-base 33기

목록 보기
2/97

1. Python 개요

  • 1991년 개발자 귀도 반 로섬이 만듦
  • 귀도 반 로섬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에서 유래
  • Google은 Java와 Python을 메인 언어로 사용 중
  • 무한 정수 처리가 가능하여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 발휘
  • 문법 구조가 쉬워 학습 시간이 비교적 짧음
  • 다양한 모듈 사용이 가능함

2. 프로그램 실행 과정

  • 컴파일러: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미리 변환 ex) C, C++, Java
  • 인터프리터: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실행이 필요할 때 기계어로 변환 ex) Python

3. 데이터와 메모리, 변수

  • 데이터: 생활 속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
  •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
  • 변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name = "Alice" # 변수 초기화
print(name) # 변수 출력

4. 변수명 설정

  • 변수명은 영문으로 사용,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시
myAddress = 'New York' # 권장
MyAddress = 'California' # 권장하지 않음
  •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
myWeight = 80 # 권장
mw = 80 # 권장하지 않음
  • 카멜 표기법 혹은 스네이크 표기법 사용
customerBankAccount = '1234-5678' # 권장
customer_bank_account = '1234-5678' # 권장
customerbankaccount = '1234-5678' # 권장하지 않음
  • 숫자는 사용 가능하나, 첫 자리에는 사용하지 않음
my_adress_1 = 'ABCD' # 권장
1_my_adress = 'ABCD' # 권장하지 않음

5. 자료형

  •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데이터를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으로 구분
  • 문자형의 경우 작은따옴표 or 큰따옴표 사용 가능하나, 혼용할 수는 없음
  • 정수는 메모리가 허용되는 한 무한 사용 가능
  • 실수는 대략 소수점 이하 17~18 자리에서 잘림 현상 발생 가능
  • 자료형 간 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음
## 정수형 -> 문자형 변환 
my_num = 10
my_num_to_str = str(my_num)
print(type(my_num_to_str)) # '100' / <class 'str'>

## 문자형 -> 정수형 변환
my_str = '100'
my_str_to_num = int(my_str)
print(type(my_str_to_num)) # 100 / <class 'int'>

## 논리형 -> 정수형 변환
my_bool = True
my_bool_to_num = int(my_bool)
print(type(my_bool_to_num)) # 1 / <class 'int'>

## 빈 문자 -> 논리형 변환
my_char = ''
my_char_to_bool = bool(my_char)
print(type(my_char_to_bool)) # False / <class 'bool'>

## 공백 문자 -> 논리형 변환
my_char = ' '
my_char_to_bool = bool(my_char)
print(type(my_char_to_bool)) # True / <class 'bool'>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profile
데이터 분석, 데이터 사이언스 학습 저장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