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순분자 Kotlin [6] - 클래스와 상속

불순분자들·2022년 7월 12일
0

List App 만들기

목록 보기
6/18

이번에는 Kotlin의 클래스와 상속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클래스는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할 것이다.
그 클래스 안에는 생성자와 초기화 블럭이 있을 것이고, 함수 (메소드) 가 있을 것이고, 속성 (프로퍼티) 가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 이번에는 속성 (프로퍼티) 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carName, carColor, carMaxSpeed는 Car 클래스에 대한 속성을 나타낸다.
class에 open을 붙여주게 되면 상속할 수 있는 클래스가 된다. 즉, 상속할 수 있는 준비가 다 되었다 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클래스를 만들어 주고 난 뒤, var car: = Car()로 Car 클래스를 객체로 만들어 인스턴스화 해주면 Car클래스에 있는 모든 객체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속이란 중복되는 코드를 줄이고자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앞서 말한것처럼 상속을 하게 될 클래스에 open 이라고 붙여주면 상속받을 클래스는 상속을 받을 수 있게 된다.

Kotlin 에서는 기본적으로 클래스의 디폴트 타입이 private이기 때문이다.
자바에서는 public이고, Kotlin에서는 open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상속받은 클래스는 override를 사용하여 함수를 재정의 할 수 있으며, super은 상속을 해주는 클래스를 의미한다.

profile
장래희망 : 침대 위 녹아든 치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