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Java] - Lv1.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Eunjeon_g·2023년 5월 11일
0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문제설명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n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 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todaytermsprivaciesresult
"2022.05.19"["A 6", "B 12", "C 3"]["2021.05.02 A", "2021.07.01 B", "2022.02.19 C", "2022.02.20 C"][1, 3]
"2020.01.01"["Z 3", "D 5"]["2019.01.01 D", "2019.11.15 Z", "2019.08.02 D", "2019.07.01 D", "2018.12.28 Z"][1, 4, 5]

입출력 예 #2

오늘 날짜는 2020년 1월 1일입니다.

  • 첫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19년 5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두 번째 개인정보는 Z약관에 의해 2020년 2월 1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세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20년 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네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19년 11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다섯 번째 개인정보는 Z약관에 의해 2019년 3월 27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생각해보기

개인정보에 유효기간을 더해 년/월/일을 각각 비교하면 될 것 같다.
이 때 유효기간은 n번 사용할 수 있고, key-value 형태이므로, map에 저장해두면 될 것 같다.

👩🏻‍💻코드 작성해보기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today, String[] terms, String[] privacies) {
        Map<String, Integer> map = new HashMap<>();
        Stack<Integer> st = new Stack<>();
        String td[] = today.split("[.]"); //{2022, 05, 19}
        int tdY = Integer.parseInt(td[0]);
        int tdM = Integer.parseInt(td[1]);
        int tdD = Integer.parseInt(td[2]);
        
        for(String term:terms){
            map.put(term.split(" ")[0], Integer.parseInt(term.split(" ")[1]));             
        }
        
        for(int i=privacies.length-1; i>=0; i--){
            String priArr[] = privacies[i].split("[. ]"); //{2021, 05, 02, A}
            int termM = map.get(priArr[3]); //계약서 기간 가져옴 A
            int priY = Integer.parseInt(priArr[0]);
            int priM = Integer.parseInt(priArr[1]);
            int priD = Integer.parseInt(priArr[2]);
            int month = (priM + termM) % 12;
            int year = (priM + termM) / 12 + priY;
       
            if(month == 0 ){
                month = 12;
                year -= 1;
            }
            
            if(tdY > year || (tdY==year && tdM > month) 
               || (tdY==year && tdM==month && tdD >= priD))
                st.push(i+1);
        }
        
        int[] answer = new int[st.size()];
        for(int i=0; i<privacies.length; i++){
            if(st.empty())
                break;
            answer[i] = st.pop(); 
        }
        
        return answer;
    }
}

💬설명해보기

개인정보(privacies)와 오늘날짜(today)는 년/월/일 로 비교해야 하므로 split으로 잘라서 저장해둔다. 유효기간(terms)은 n번 호출되고, key-value 형태이므로 Map으로 저장해둔다.

오늘날짜 > 개인정보 + 유효기간 이되어야 하고, 년/월/일을 각각 비교해주어야 한다.
보관기간을 얻기위해 (개인정보+유효기간)을 12로 나눴을때 몫은 +년, 나머지는 월이된다.
만약 월의 합이 13이 되었다면 보관기간은 다음년도 1월까지가 된다. 즉 (개인정보(월) + 유효기간)의 나머지가 보관기간의 월이 되고, 월의 합이 12가 넘었기에 개인정보에 1년이 추가되어햐 한다.

이때 월의 합이 12의 배수라면 월(나머지)는 0이 나온다.
만약 2022년 12월 1일 수집된 개인정보의 유효기간이 12개월이라면 월(나머지)은 0이 되고, 몫(년)은 2가 추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24년 0월이라는 것은 없다. 보관기간은 23년 12월 1일까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나머지가 0일때(월의 합이 12의 배수일때)는 월(나머지)을 12로, 년(몫)은 -1을 해주어야 한다.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는 오늘날짜의 비교할 때 년/월/일을 각각 비교해주면 된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