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콥 닐슨의 10가지 사용성 평가 기준 (Jakob’s Ten Usability Heuristics)
- 여기서, Heuristic(휴리스틱)이란?
'체험적인'이라는 뜻으로, 완벽한 지식 대신 직관과 경험을 활용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1. 시스템 상태의 가시성 (Visibility of system status)
- 합리적인 시간 내에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에게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항상 제공해야 합니다.
- 피드백이 존재하나요?
- 피드백이 즉시 제공되나요?
- 피드백이 명확한가요?
예시) 파일이 첨부를 위한 파일이 업로딩 상황을 표시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10786739-9bed-46e2-859d-596d4cf60be1/image.png)
2. 시스템과 현실 세계의 일치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 내부 전문용어가 아닌 사용자에게 친숙한 단어, 구문 및 개념을 사용한다.
예시) 연주 애플리케이션의 모습이 실제 악기의 생김새와 유사하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fc574113-aadf-4474-b58c-e06c273edb91/image.png)
3. 사용자 제어 및 자유 (User control and freedom)
- 사용자는 종종 실수를 한다.
- 현재 진행 중인 작업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혹은 실수로 수행한 작업을 취소할 수 있는 방법, ’탈출구’를 명확하게 제공해야 한다.
예시) 삭제 직후에 취소할 수 있는 버튼이 잠시 나타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e6a715b3-0974-4034-8774-f9244f2ac3c0/image.png)
4. 일관성 및 표준 (Consistency and standards)
- 외부 일관성 : 일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플랫폼 및 업계의 관습을 따라야한다.
- 사용자에게 익숙한 UI를 제공하여야한다. 잘 알려진 UI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내부 일관성 : 사용자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제품의 인터페이스나 정보 제공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 예시) 한 제품 내에서 같은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버튼의 모양, 위치, 아이콘 크기 등)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1424c873-f587-4c95-b483-b8659c84fa8a/image.png)
5. 오류 방지 (Error prevention)
-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해야 한다.
- 예시) 삭제 버튼을 눌렀을 때, 정말로 삭제할 것인지를 이용자의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다시 물어보자.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d867de7a-f134-4bac-988e-03a8a0320287/image.png)
6. 기억보다는 직관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 사용자가 기억해야 하는 정보를 줄인다.
- 예시) 최근 검색 했던 단어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36496905-0c76-4497-9564-a137bd7b743b/image.png)
7. 사용의 유연성과 효율성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에게 개별 맞춤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 예시) 프로그램의 단축키를 직접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630c86c4-8574-4d07-bea0-202a386d9d0b/image.png)
8. 미학적이고 미니멀한 디자인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 인터페이스에는 관련이 없거나 불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콘텐츠와 기능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잘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 예시) 사용 빈도가 적은 메뉴를 다 보여줄 필요는 없습니다. 필요할 때에만 볼 수 있게 숨겨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e2dbf832-61d1-4a67-b83c-2b032b1a27ab/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a16ccb7d-538f-4d61-aed9-c79c38baeeeb/image.png)
9. 오류의 인식, 진단, 복구를 지원 (Help users recognize, diagnose, and recover from errors)
-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여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표시하고, 해결 방법을 제안해야 한다.
- 예시) 영문 성(Family Name)을 입력해야하는 폼에서는 한글이 아닌 영어를 입력해야 함을 정확하게 알려줍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4ed903c5-6a31-4b5e-bab1-db6d4eed0d66/image.png)
10. 도움말 및 설명 문서 (Help and documentation)
- 추가 설명이 필요 없는 것이 가장 좋지만, 상황에 따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서를 제공해야 한다.
- 예시) 간단한 안내를 통해 검색에 도움을 준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ith_0318/post/5b2cca67-c5dd-4ead-bd91-abf3a29ac839/image.png)
사용성 평가 기준 활용하기
사용성 평가 기준은 서비스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제품 설계 단계에서 더 완성도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기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제품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위 10가지 원칙을 지속적으로 확인해 주는것이 좋다. 사용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