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이동찬·2023년 3월 1일
0

Spring

목록 보기
9/20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협력)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기 만들기 때문에 대규포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다형성의 실세계 비유

  • 역할 : 인터페이스
  •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 운전자는 자동차가 k3에서 테슬라로 차를 바꿔도 차는 그대로 탈 수 있다. 운전자는 바꿀 필요가 없다. 즉,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 로미오가 장동건인데 줄리엣이 김태희가 되었든 송혜교가 되었든 상관이 없다.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하면 세상이 단순해지고, 유연해지며 변경도 편리해진다.
  • 장점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 - 역할 =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자바 언어의 다형성

  • 오버라이딩을 떠올려보자
  • 오버라이딩은 자바 기본 문법
  •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가 실행
  • 다형성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물론 클래스 상속 관계도 다형성, 오버라이딩 적용가능

다형성의 본질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함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스프링과 객체 지향

  • 다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 스프링에서 이야기하는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스프링을 사용하면 ㄴ마치 레고 블럽 조립하듯이! 공연 무대의 배우를 선택하듯이!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